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해결사1
해결사123.08.04

별이 깜박깜박거리는 이유가 뭔가요?

별은 항성이고 그래서 모든 별들은 태양처럼 지속적으로 빛을 냅니다.맞죠?그런데 밤하늘의 별을 보면 별들이 가끔 깜박깜박 거립니다.

항성이 빛을냈다 안냈다 할수 없자나요?

그렇다면 밤하늘의 별은 왜 깜박거리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기체 분자들이 가득 모여있습니다. 빛이 이 공기를 지나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 빛과 공기의 상호작용, 산란, 굴절 등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래서 완벽히 직진하여 우리눈에 들어오지 못하죠. 그래서 아지랑이가 생기거나 아른아른하게보이며, 별이 반짝거리기도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대기는 항상 움직이고, 불안정한 조건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대기의 움직임은 별의 빛이 지구로 도달하는 동안 거친 경로를 통과하게 만들어 깜박거림을 일으킵니다. 이는 별의 빛이 산란되거나 차단되어 빛의 강도가 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일부 별은 이중성 천체로서 두 개 이상의 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성 천체는 서로 주위를 돌며 회전하면서 광도가 변하는데, 이는 깜박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별이 깜박거리는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별이 깜박깜박거리는 것으로 관찰됩니다:

    1. 지구 대기의 불안정성: 지구 대기의 불안정한 상태로 인해 별의 빛이 굴절되거나 산란되어 더욱 희미하게 보이거나 갑자기 밝게 보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의 온도 변화, 풍속, 습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2. 별의 밝기 변동: 별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밝기가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변수성 별들은 주기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밝기가 변하면서 깜박거리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3. 이중성과 다중성: 별이 이중성이거나 다중성 체계를 이루는 경우 더 복잡한 광도 변화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깜박임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4. 지구와 별의 상대적인 운동: 지구와 별이 상대적으로 운동하면서 빛의 속도 변화에 따라서 깜박임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성간 간섭이나 유성체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5. 대기 오염과 관측 조건: 대기 오염, 즉 빛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별의 깜박임이 더욱 두드러지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측 조건에 따라서도 별의 밝기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별이 깜박깜박거리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별 자체의 특성과 지구의 관측 환경, 조건에 따라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