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에 가까운 일을 걱정하는 아이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초등학교 5학년 된 딸아이가 잠들기 전마다 걱정을 풀어놓습니다.
'전쟁나면 어떻게하지?'
'백두산이 폭발하진 않겠지?'
'아파트는 안전한 곳이야?'
이런 식의 걱정을 대수롭지 않게 대답해주고하는데, 생각보다 오랫동안 질문이 계속되어서 걱정이 되네요.
이런 걱정들이 나이를 먹으면 사라질까요?
어떻게 대응을 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족들이 염려와 걱정이 많은경우 유전적으로 예민한 성격을 물려 받아서 걱정이 많을 수도 있다.
자녀를 편안하게 대하고 반복해서 아이를 안심 시키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처럼 아이가 불안해하고 식은땀을 흘린다면, 먼저 아이가 느끼는 불안을 인정하고 이를 함께 해결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아이에게 작은 목표를 설정해 성공 경험을 쌓게 하고, 점차 도전하는 과제를 늘려가는 방식이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수학 문제를 단계별로 나누어 작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낯선 공간에 가기 전에 미리 어떤 환경인지 설명해 주거나, 함께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며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불안을 느낄 때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물건을 가져가서 안정감을 느끼도록 도울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자주 주어 자신감을 높여주고, 불안에 대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며 차분하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사고에 예민함이 있거나 트라우마가 있으면 위처럼 나타날수있습니다
가능하면 안전하다는것을 알려주는것이 좋으며
집에서 대화를 할때 이러한불안감을 조성하거나 안좋은것들을 아이에게 많이 듣게 하지 않는지 체크해보심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일들입니다. 특히 초등학교에
입학한 자녀들에게서 많이 볼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여러가지 교육을 받다보면
여러가지 정보에 대하여 극단적으로 걱정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성장과정에서 충분히
있는 행동이니 자연스럽게 설명해주시면서 걱정할 필요가 없음을 반복적으로 설명해주시면
개선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불안할 일은 전혀 일어나지 않을거라며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즉, 아이가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는 것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은 아이의 불안감을 먼저 해소시켜 주시는 것입니다.
또한 아이가 몸속에 불안한 감정을 두고 마음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시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심호흡, 숫자세기, 비눗방울 불기, 색칠하기, 그림그리기 등을 시켜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미래에 일어나지 않을 일에
두려움을 갖거나 그런 것보다는
현재의 행복을 즐기도록 교육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사람이 하는 걱정 중에
대부분이 쓸모없는 걱정이고 실제로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는 것을 가르쳐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뉴스에 재난이나, 장마, 홍수 이런 뉴스를 자주 보는 건 아닐까요?
또는 재난 영화나, 공포 영화 같은 경우엔 안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평소에 아이의 스트레스를 줄여 주시고, 항상 사랑으로 아이를 대해 주시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즈음 들어서 비가 많이 와서 아이가 걱정이 많아진 게 아닐까 싶습니다
아이가 편안한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엄마 아빠가 옆에서 이야기도 들려주시고, 조용한 음악을 들려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