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강한에뮤83
강한에뮤83
19.05.25

이더리움의 플리즈마 오픈소스가 깃허브에 제공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더리움의 플리즈마 오픈소스가 깃허브에 제공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럼 확장성 해결을 위해 플리즈마 기술이 필요한 다른 암호화폐도

이더리움의 플리즈마 오픈소스를 그대로 적용하면 플리즈마 기술 구현이 가능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19.05.25

    우선 플라즈마 기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 후 질문자께서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플라즈마 기술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트랜젝션 처리 속도를 향상(확장성 문제의 해결)시키기 위해 제안된 '차일드 체인'의 일종입니다. 이때 이더리움 체인은 루트 체인이 되고 차일드 체인인 플라즈마 체인과 연결되게 됩니다.

    이더리움 루트 체인과 연결된 자식 체인이 만들어지면 해당 자식 체인에서 이더리움의 트랜젝션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 수많은 거래 내역을 매 번 루트 체인에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트랜젝션이 처리 되고 난 후에 한 번에 모아서, 트랜젝션을 검증하고 승인하고 루트 체인에 기록해야하는 필수적인 데이터만을,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온체인 상에서 처리함으로써 거래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플라즈마 기술의 경우 오픈소스가 존재하더라도 이더리움에 알맞게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블록체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수정하거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플라즈마 기술이 차일드 체인 기반이라고 할 때 이러한 '부모-자식 체인'의 경우 다른 블록체인인 아더와 이그니스의 관계에도 이미 적용되어 있는 등 이더리움만의 고유한 기술인 것만이 아니라는 점에서 반드시 이더리움 플라즈마 기술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차일드 체인 구축의 원리를 참고로 하여 새롭게 개발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