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에 학습장애가 있는 초등학생이 있다면 교사가 어떻게 지원해야되죠?
반에 학습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있다면 어떤식으로 접근해야될까요? 아직 이런 부분을 고민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는데 꿀팁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습 장애가 있는 초등학생을 지원하려면 개별화된 교육 계획(IEP) 수립, 명확한 지시 제공, 시각적 도움 사용, 반복 학습, 긍정적 피드백과 보상을 활용하여 학생의 필요에 맞춘 접근이 필요하니 참고해 주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심각한 학습장애를 가진 아이를 지원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지만 올바른 전략과 자원으로 그들이 번창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그 방법으로는 아동의 요구 이해, 구조화된 환경만들기, 시각적 지원 사용, 작업을 더 작은단계로 세분화 등이 있는데요.
아동의 요구 이해는 학습장애 아이의 구체적인 요구와 도전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구조화된 환경만들기는 아이가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도록 규칙과 일정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각적 지원사용은 그림, 차트 등으로 아이의 학습에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마지막 작업을 더 작은 단계로 세분화는 작업을 더 작고 더 관리하기 쉬운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걸쳐 명확한 지침과 지침을 제고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관련하여 해당 학생이 특수교육대상자인지 여부, 그리고 어느 정도의 학습적인 어려움이 있는지 여부, 특수교실 수업을 얼마나 듣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므로 학교의 특수교사와 보호자, 그리고 학생의 수준 등을 고려해 협의회를 열어 어느 정도의, 어느 부분에서의 지원을 하면 좋을지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첫 번째로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초 학력 저하가 우려될 수 있기 때문에 방과후 보충 학습 프로그램을 지원해줄 수 있습니다. 학부모와의 동의하에 학교가 끝나고 방과 후 아이와 시간을 정해서 필요한 학습 부분을 함께 공부하는 건데요. 보통은 국어나 수학을 많이 하게 됩니다. 또는 대학생 보조 강사를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옆에서 아이가 부족한 부분을 함께 도와주는 역할도 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수혜 교사가 보충 지도 학습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도 있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