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이전에 따른 세금의 종류 및 예상금액
안녕하세요?
지금 시어머님 명의로 경기도에 아파트가 1채 있고 현재 전세를 준 상태입니다
저희 부부에게는 제 명의(아내)로 지방에 1채 있고 실 거주 중입니다
최근에 시부모님이 이혼을 하고 싶다고 하셔서 어머님 명의의 집을 남편 명의로 바꾸려고 합니다
그동안 아버님이 이래저래 집안을 힘들게 하셔서 최대한 아버님께 혜택이 적게 가는 방향으로 추진하려고 합니다
이에 아래 몇가지 사항에 대해 궁금해서 남깁니다
1. 시부모님 이혼시 어머님 명의로 된 아파트에 대한 부부 재산 분할이 의무인가요?
만약 의무라고 한다면 재산 분할에 대한 비율은 어떻게 되며, 재산 분할시 자식들 동의도 있어야 되는 건지 해서요
2. 시어머님 명의 아파트를 남편 이름으로 명의 변경시, 증여에 해당이 되는지 해서요
현재 대략적인 아파트 시세가 3억 2천~3억 3천 정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증여세 금액과 추가로 계상되는 세금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증여를 할 경우에 어머님과 남편만 서류를 꾸미면 되는지, 아니면 다른 자식과 시아버님 동의 서류도 필요한지
문의드립니다
3. 그동안 남편 직장 연말정산시 2분 모두 기본공제자로 포함이 되어 인적공제, 병원비 등등 공제를 받았는데요
시부모님이 이혼하실 경우 연말정산시 2분을 모두 기본 공제자로 포함시킬 수 없는 건가요?
연말정산시 달라지는 부분은 무엇이 있을까요?
4. 당초 어머님 돌아가시면 상속으로 재산을 이어받으려고 생각중이었습니다. 상속의 경우 남편과 누나 2명밖에 없어서 크게
어려움이 없을 거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시부모님이 이혼을 원하시는 상황이 되어 부득이하게 여러가지 방안
을 고려해봐야 될 상황입니다. 어머님과 저희들은 최대한 아버님께는 돈을 덜 드리고 해결하고 싶습니다.
이 시점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