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회사 생활

레이나왕돌맘
레이나왕돌맘

대기업에서 과장이라는 직책은 높은 직책인 것인가요??

대기업에서 과장이라는 직책이 어떤 의미인지 잘 모르겠어요. 과장이면 어느 정도의 직급인지 궁금하고, 보통 어떤 일을 하는지 알고 싶어요. 과장이 높은 직책인지 아니면 중간 정도인지 헷갈리네요. 대기업에서는 보통 몇 년 정도 일해야 과장으로 승진할 수 있는지도 궁금하고요. 과장이라는 직책이 다른 회사에서도 비슷한지, 아니면 회사마다 다르게 부르는지 궁금해요. 과장이라는 직책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그에 따른 책임이나 권한은 어떤 건지도 알고 싶어요. 아는 분이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포맨
    조포맨

    과장은 직책이 아니라 직급입니다.

    일반적으로 대졸 입사 8~10년차 정도되면

    과장(책임)으로 승진합니다.

    (승진대상 자격을 갖기 위새

    평가 점수는 취득해야 합니다)

    그냥 대기업에 다니는 실무자입니다.

  • 대기업에서 과장은 딱 중간 직급 입니다. 보통 기업에서 신입 사원으로 들어 가면 3년은 사원 3년은 대리 5년은 과장 정도로 진급을 하니 군대를 다녀 온 남자 대졸 직원의 경우 나이가 30대 중반 정도가 되겠지요. 과장은 보통 조그만 회사에서는 한팀에서는 팀장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고 큰 조직에서는 팀장 밑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해서 사원 대리급들의 선임으로서 역할을 하고 위로 차부장 급들의 관리를 받기도 합니다. 어느 회사던지 과장급이 일을 열심히 하게 되는 나이이고 짠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대기업 과장은 한 과의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간 정도의 직책입니다. 회사 마다 다르겠지만 과장 위로는 차장, 부장 또는 팀장이 있고 아래로는 대리, 주임, 사원이 있습니다. 과장 진급하는 것은 개인 직무 수행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5~10년 정도 걸리기도 합니다. 서열 체계의 직급에서는 대부분 과장 직급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평적인 체계를 가진 조직에서는 엔지니어, 책임으로 통일하기 때문에 과장 직급이 없는 곳도 있습니다.

  • 대기업에서 과장은 중간 관리자 정도의 직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업무는 기업마다 달라서 과장급이면 실무를 직접 하는 직급이긴 합니다. 보통은 과장이면 팀원을 꾸릴 정도이 직책은 아니고 실무를 하고 있는 경력있는 직원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고 5~10년 사이에 과장 직급을 달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생산직군에서는 과장을 직장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직장으로 불리는 생산 직군에 과장을 현장에서 반장.파트장 정도의 업무를 본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청렴한텐렉240입니다

    음 일단은 중간정도 직책이라 생각합니다

    사원 주임 대리 이후 과장인데

    장 이라는것은 어느정도의 리더십을 인정받은겁니다

  •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입니다.대기업에서 과장지책은 중간직책입니다.한 10년이상은 다녀야되구요.연봉도 1억은 넘어가겠죠.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간다면 최소한부장이상으로 갈수있는 스펙입니다. 다만 대기업인원이 중소기업갈 이유가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대기업이든 중견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과장은 중간정도의 직책입니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과장은 5년이상 회사에 있을경우 진급이 됩니다.

  • 대기업에서 과장은 그 회사에서는 중간간부급의 직책입니다마는. 다른 작은 중소기업에 비하면 높은 직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