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Youangel
Youangel

EU의 철강관세 50% 가 의미하는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현실은?

안녕하세요? 오늘자 인터넷 언론 기사에 EU 가 철강관세를 50% 로 올렸다고 나왔는데요,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의 현실은 어떻게 될것인지 그 전망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철강관세가 50%가 부과되었으면 상대적으로 관세가 적은 나라들이 미국에 수출할 때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 우리나라가 관세 협상을 잘했다면 지금이 기회겠지만 우리나라도 제 코가 석자이기 때문에

      이 상황이 꼭 좋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 우리나라는 다시 일본의 엔화가 절하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은 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철강산업은 세계 5위권의 생산 규모를 자랑하며 주요 강점으로는 자동차용 강판, 조선용 후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우수한 생산 능력과 기술력, 세계 최고 수준의 제철 기술과 생산 효율성, 그리고 원료 구매부터 최종 제품까지의 수직 계열화된 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산 대상 고율 관세 확대 시 EU 내 고급 강판에서 한국산 대체 수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가격 스프레드를 지지하는 요인이 됩니다. 하지만 관세율 할당 제도로 인해 물량 증가에는 상한이 있으며, 분기별 쿼터 관리가 수익성을 좌우하는 상황이고 또한 반덤핑 조사 확산이나 우회 의심에 따른 통관 지연 등의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CBAM 비용=제품 탄소배출량×EU ETS 가격−한국 ETS 납부분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이 공식에서 고로강의 경우 2.0-2.3 tCO2/t의 배출량과 70-90유로의 EU ETS 가격을 가정하면 상당한 비용 부담이 예상되고 CBAM 준비를 위해서는 공장별, 제품별 배출계수 산정과 한국 ETS 납부증빙 정비, 고객사와의 데이터 연동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EU 세이프가드 카테고리별 한국 할당량과 기타국 풀 사용전략을 최적화하고, 선적 타이밍을 분산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U는 한국 철강의 3대 수출시장 중 하나입니다. 즉, 미국의 철강관세 50% 조치는 우리나라 철강 산업에도 직격탄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무관세 쿼터가 줄어들면 수출량이 감소하고, 수익성이 급락하며, 유럽 시장 내 가격 경쟁력 약화와 유럽의 일부 바이어들이 중국·인도 등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U 철강관세 50퍼센트 부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EU에도 철강관세가 부과되면

    철강을 수출하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경쟁력을 다시 어느 정도 찾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EU의 철강관세 인상은 한국 철강 수출에 부담을 주는 조치 입니다. 고부가가치 제품과 친환경 기술 중심으로 산업 구조를 전환해야 돌파구가 생깁니다. 결국 기술 경쟁력 강화와 시장 다변화가 필수 과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EU는 한국 철강의 최대 수출 시장입니다. 지난해 한국의 EU 철강 수출 규모는 약 44억 8000만 달러로, 미국 수출 규모와 함께 1,2위를 다투는 중요한 시장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이 수입 철강에 대해 무관세 쿼터를 폐지하고 관세를 50%로 인상한 데 이어, EU마저 비슷한 수준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서 한국 철강 기업들은 최대 수출 시장 2곳에서 모두 높은 무역 장벽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EU의 50% 관세 및 쿼터 축소 추진은 한국 철강 산업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부와 업계의 치밀한 협상 전략과 고부가 가치/친환경 기술력 확보를 통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가 위기를 극복하는 핵심 열쇠가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것이 최선의 상태이지만, 관세를 부과해도 우리나라의 전세계에서 철강산업 비중은 그대로 유지가 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철강제품의 기술력이 우수해서 그만큼 트럼프 관세때도 큰 문제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U 철강관세가 50%라는 것은 한국산 철강의 최대 수출시장이 EU이기 때문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수입쿼터까지 감소하는 상황에서 한국 수출기업들의 상황은 상당히 암울합니다만 현재 이 사태가 초반이기 때문에 협상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살아남을지 여부가 판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