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
내마음가는대로룰루랄라니나노24.01.01

플라스틱에 들어있다는 가소제는요..

대표적으로 비스페놀계와 프탈레이트가 유명하잖아요~이건 고온이나 산성환경에서 용출되어나올 수 있고 접촉만 해도 인체에 흡수될 수 있다는데, 만약 고무장갑을 끼고 따뜻한 물에 담가놓고 세척하는 과정을 여러번 거쳐서 그 안에 들어있는 가소제가 빠져나오고나면 그 후에는 사용할 때 가소제가 조금만 나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스페놀계와 프탈레이트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유해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 물질들은 고온이나 산성환경에서 용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무장갑을 끼고 따뜻한 물에 담가놓고 세척하는 과정에서도 이 물질들이 용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번 세척을 거치면서 물질이 빠져나오게 되면 그 후에는 사용할 때 더 이상 물질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비스페놀계와 프탈레이트가 들어있는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스페놀계와 프탈레이트는 일부 화학 물질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들에 흔히 사용됩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일반적으로 안전 기준을 충족하도록 생산되며, 제품 안전성을 위해 규제 및 테스트가 이루어집니다.

    고무 장갑은 일반적으로 비스페놀계 및 프탈레이트와 같은 화학 물질을 포함하지 않도록 공급됩니다. 그러나, 화학 물질의 접촉이나 용출 가능성은 사용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뜻한 물에 고무 장갑을 여러 번 담가놓고 세척하는 과정에서는 일부 가소제가 물에 용출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용출은 대부분 미미하며, 일반적으로 인체에 흡수되는 양이 건강에 유해한 수준을 초과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장갑을 사용할 때 가소제의 용출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고무장갑에 있는 가소제는 고온이나 산성인 용액에 담가두면 용출되서 나오기 쉽습니다.

    따뜻한 물에 담가두시면 그 안에 가소제가 빠져나옵니다.

    처음에는 가소제가 많이 빠져나오고 그 다음에는 조금 빠져나오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소제(可塑劑, plasticizer, plasticiser)는 물질의 점성을 줄이고 소성을 증가시키는 첨가제이다. 물질의 물리적 속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추가되는 물질들이다. 이것들은 휘발성이 낮은 액체이거나 고체이다. 고분자 사슬 간 인력을 감소시켜 유연성을 높인다. 지난 6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점성 평가를 위해 30,000개 이상의 각기 다른 물질들이 평가되었다. 이 가운데 아주 극소량인 대략 50개가 오늘날 상용화되었다.


    이를 적용한 저명한 사례로는 플라스틱의 경우 특히 폴리염화 비닐(PVC)이다. 콘크리트, 점토, 또 그와 관련된 제품들을 포함한 가소제들과 섞어서 다른 물질들의 속성을 수정할 수도 있다. 2014년 데이터에 따르면 가소제의 전 세계 시장은 8,400,000톤으로[2], 이 중 유럽의 경우 1,300,000톤을 차지한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소제는 고온이나 산성환경에서 용출되어 나올 수 있으며, 접촉만 해도 인체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소제가 함유된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는 가급적 고온이나 산성환경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고무장갑을 끼고 따뜻한 물에 담가 놓고 세척하는 과정을 여러 번 거치면, 플라스틱에 함유된 가소제의 일부가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소제는 플라스틱의 고분자 사슬 사이에 섞여 있는 성분으로, 물에 완전히 녹아 나오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세척을 통해 가소제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가소제가 함유된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는 가급적 고온이나 산성환경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세척을 통해 가소제의 용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