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잘웃는레오파드261
잘웃는레오파드26121.12.23

진통제의 어떠한 성분이 통증을 완화 시켜 주나요?

안녕하세요.

병원 및 약국에서 어렵지 않게 구입할 수 있는 진통제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진통제를 복용, 투여 받았을 경우에

이 진통제의 어떠한 성분이 우리 몸의 통증을 완화 시켜 주는지 궁금하네요

답변 부탁 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단순히 진통제라고 부르는 약물은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약물의 종류에 따라 통증을 억제해주는 기전이 다양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일반 소염진통제는 우리 몸의 prostaglandin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cox를 억제하여 (nsaid) 진통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통증 '전달'이나 '염증작용'에 역할을 하는 물질들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25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은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일어나는 발열 통증을 예방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뇌에서 느끼는 통증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중추신경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는 기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진통제에 따라서 작동 기전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부분은 통증이 전달되는데 필요한 화학 물질을 중간에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실제로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없애기 보다는 안느껴지게 해 주는 것이 기본입니다.


  • 병원 및 약국에서 어렵지 않게 구입할 수 있는 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주로 아편제 계열)을 제외한 다른 성분들입니다. 두 가지 성분이 있는데 타이레놀로 알려진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가 있고 그 외에는 이부프로펜, 부루펜 등으로 유명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성분의 진통제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참 어려운 질문입니다. 통증이 유발되는 것은 여러 신경 물질의 작용에 의한 겁니다. 이런 신경 물질을 차단해 주는 것이 진통제의 효과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성분(성분은 조금씩 다릅니다. 부루펜도 있고 나프록센도 있구요.) 이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