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수리무
수리무23.12.02

조선시대 녹봉은 품계에 따라 같은 것인가요?

조선시대에 관리에게 녹봉을 지급했는데 내시인 상선이 종 2품이고 궁녀도 상궁은 정 5품이었는데 이들이 받는 녹봉도 양반이 하는 벼슬과 품계가 같으면 녹봉도 같습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품계가 높을수록 높은 직위와 명예를 가진것으로 품계에 따라 받는 녹봉의 양, 종류가 달랐습니다.

    품계가 같다고 해 관리들이 받는 녹봉은 동일하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기본적으로 내명부 상궁 등도 일반 관리와 녹봉은 같습니다. 조선 전기의 녹봉은 1년에 4번 주게 되어 있고 액수는 품계에 따라 나누는데 가장 높은 정 1 품은 중미(中米) 14섬, 현미 48섬, 조·보리·밀·콩 등 35섬, 주(紬) 6필, 정포(正布) 11필, 저화(楮貨) 10장을 주고, 가장 낮은 종 9 품은 현미 8섬, 잡곡 4섬, 정포 2필, 저화 1장을 지급 받는데 내명부 녹봉과 일반 관리 녹봉은 같은 종류의 녹봉이지만, 내명부 녹봉은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녹봉으로, 일반 관리 녹봉과는 다른 지급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명부 녹봉은 관리의 직위와 성적, 연령, 경력 등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되며, 일반 관리 녹봉은 관리의 직위와 성적, 연령, 경력 등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조선은 양반중심의 사회였기 떄문에

    당연히 관료와 내시, 궁녀들의 녹봉과 품계는

    당연히 달랐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녹봉은 품계에 따라 지급한 봉급입니다. 떠라서 점차 감소되었으나 같은 품계는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단 조선 초기의 실록 등에 의하면, 흉년이 들거나 외국사신들이 자주 왕래하여 국가의 재정형편이 어렵다는 핑계로 실제로는 규정보다 녹봉을 적게 지급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태형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품계가 같더라도 하는 일의 위험도나 중요도에 따라 품삯이 다르기도 한걸로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