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후루티55
하얀후루티5523.08.15

지구과학 중 천체쪽 질문드립니다!!

1. 천체의 남중고도를 구하는 공식에서 관측자의 위도를 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 천구적도와 공전궤도면은 같은건가요?
3. 지구의 공전궤도면(황도면)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이 23.5도 기울어진 이유는 무었인가요? ㄴ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정도와 동일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4. 태양의 남중고도를 결정짓는 요소는 23.5도 기울어진 채 운행하는 공전과 적위인가요?

ㄴ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진체 공전하기 때문에 태양의 입사각이 변하면서 남중고도가 변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체의 남중고도를 구하는 공식에서 관측자의 위도를 빼는 이유는 천체의 위치를 관측자의 위치와 비교하여 표현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천체가 천구점(천체가 하늘에서 직각으로 떨어진 점)에서 얼마나 높이 떠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천구적도와 공전궤도면은 다른 개념입니다. 천구적도는 천체가 하늘에서 이루는 원형의 경로를 나타내며, 이것은 천체의 위치에 따라 변화합니다. 반면에 공전궤도면은 행성이나 천체가 공전하는 태양 주위의 경로를 나타내며, 행성의 공전 궤도는 태양 중심에 대해 고정되어 있습니다.

    • 지구의 공전궤도면(황도면)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이 23.5도인 것은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적도면과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태양의 입사각이 계절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이 기울어진 자전축으로 인해 계절 변화와 관련된 현상이 발생합니다.

    • 태양의 남중고도는 천체의 위도와 지구의 기울어진 자전축에 따라 변화합니다. 태양의 남중고도는 관측 위치에서 천체가 천구점에서 얼마나 높이 떠 있는지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천체의 적위와 관측자의 위도, 그리고 지구의 기울어진 자전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천체의 적위와 위도의 차이, 그리고 지구의 기울어진 자전축에 의해 태양의 남중고도가 결정됩니다. 태양의 입사각 변화도 태양의 남중고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