잿물 그리고 양잿물은 무엇인지요?
잿물은 뭘 태우고 남은 재를 물과 섞은 것을 잿물이라 하고 옛날에 빨래할 때 많이 사용했다고 하는데 서양에서 들어온 잿물인 양잿물은 어떻게 만드는지요?
안녕하세요. 정중한해파리168입니다.
주성분이 탄산칼륨(K₂CO₃)이며 물 속에서 가수분해되어 알칼리성을 띄므로 세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다식물을 태운 재의 성분은 탄산나트륨(Na₂CO₃)이다. 비누가 나오기 이전에는 세탁에 이 잿물이 많이 사용되었다.
예로부터 아궁이나 화로에서 나온 재에서 잿물을 받아 세탁에 사용하였으며 지방과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짚, 콩깍지, 뽕나무, 잡초 등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규합총서』에 의하면 묵은 때는 특히 콩깍지 잿물에 잘 빠진다고 쓰여있다.
조선말 개항이후에 가성소다(NaOH)가 우리 나라에 들어오면서 잿물 대신 세탁에 쓰여졌고, 이를 서양에서 들어온 잿물이라 하여 양잿물이라고 불려졌다.
양잿물은 비누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전인 1960년 초까지 가정에서 세탁용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가성소다는 강알칼리성이므로 세탁효과는 뛰어나나 잿물이나 다른 세제에 비하여 빨래를 많이 손상시킨다.
안녕하세요. 기민한돌고래220입니다.
맞습니다 예전엔 세제가 없어서 재를 물에가라않혀서
잿물을사용했는데 서양에서 세제가 들어오면서 세제를 사용했습니다 바로 서양에서 들어온세제를 양잿물이라고 불린것입니다 양변기 양동이 양식 다같은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굳센때까치29입니다.
잿물은 숯이 아닌 나무나 볏짚 등의 완전히 타버린 재를 물에 섞어 가라앉히면 알칼리성의 탄산칼륨이 주성분인 용액이 만들어집니다. 양잿물은 서양에서 온 잿물이란 뜻입니다. 수산화나트륨을 말하는 것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