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사람들은 뭘로 세수했을까요??
옛날 사람들은 세탁비누가 없었을 때는 잿물을 이용하여 빨래를 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는데요,,,
그렇다면 옛날 사람들은 세안용 비누나 클렌징제폼 대신에는 어떤 것들을 사용하였나요???
세수를 할때에는 쌀겨나 조두(녹두나 팥을 갈아 만든 가루)를 이용했답니다..
조두와 쌀겨에는 미백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그렇다고 하더군요..
또 머리를 감을때엔 창포물로 감았다고 합니다.. 단오 날에는 동쪽방향의 물에서 창포물로 머리를 감았다고 합니다.. 동쪽의 기운이 자신에
게 오기 바랬기 때문일까요?
나무태운 재를 물에 우리고 걸러서 만든 잿물과 삭은 오줌을 세제로 쓰기도 했다고합니다. 잿물과 오줌에 암모니아가 있단걸 알아서일까여?
옷감이나 명주같은 것에는 콩가루나 녹두가루를 썼는데, 이 가루를 더러움이 날아간다라는 뜻인 비루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부자들은 이걸로 손이나 얼굴을 씻기도 했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이 조두는 세정 뿐만 아니라 미백효과도뛰어나서 궁궐의 여자들은 조두를 애용해서 경복궁에 흐르는 금천은 항상 뿌연색을 띄었다고 하는군요..
특히 정월 초하룻날에 조두로 세수하면 얼굴이 희어진다고 해서 옛 여자들은이 날 쓸 분을 1년동안 만든다고 하는군요..
조두 만들 형편이 못되는 집에선 콩깍지 삶은 물 혹은 쌀겨를 무명 주머니에 담아썼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끔 살결이나 머릿결이 좋은 여자를 보면 방앗간집 딸이라고 빗대었다고 합니다. 방앗간집에선 충분히 쌀겨를 언제든지 구할 수 있으니까..
또 잿물에 여뀌의 즙과 밀가루를 넣어 만든 석감이란것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양잿물이라고 부르는 가성소다를 쓴 시기는 조선말의 개항이후였다고 하는군요. 1901년 프랑스인 리델이 쓴 <서울 옥중기>에 나오는 얘기로는,
1878년 2월 비누로 손을 씻을때 거품이 이는 것을 보고 옥졸들이 마술이라며 놀랐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