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정콩이
정콩이20.08.21

49재 정확한 날짜를 알수 있을까요?

49재를 지내려고 하면 날짜를 계산해야 하는데

돌아가신 날부터 하는건지

돌아가시기 전날부터 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제사를 모셨던 집이 아니라서 헛갈리네요.

친구 2명에게 물어보니 각각 다른 답이라서요.

부탁드립니다.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8.21

    49재 날짜 계산법은 제사를 지낸 날짜가 아닌, 실제로 돌아가신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그래서 가장 간단한 49제 날짜 계산법은 (돌아가신 날짜)+ 7주 – 1일 이 되겠습니다. 49재는 본래 불교에서 비롯된 의식으므로 , 7일마다 불경을 외우며 재를 올리는 것을 49일동안 반복하는 것 입니다 . 이 49일 동안 후손이 정성을 들여 제례의식을 행하면 망자가 다음 생에는 더 좋은곳으로 좋은 복을 가지고 태어나 선한 삶을 살수 있다고 합니다.


  • 49재 정확한 날짜를 알수 있을까요?

    - 49 재 날짜계산은 돌아가신 날을 포함하여 49일되는 날입니다.

    - 의미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적인 조령 숭배 사상과 불교의 윤회사상이 절충된 것으로 불교의식에서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를 올려 죽은 이가 그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는 좋은 곳에서 사람으로 태어나길 비는 제례입니다.

    칠칠재라고 부르기도 하고 49일간 중유, 중음이라고 하는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생이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사상입니다.

    불교의 무아설에 따르면 개인이 살아있을 때 했던 업보는 그 사람에게만 한정되며 어떤 식으로도 자녀 또는 후손에게 전가될 수 없다고 하지만 유교사상에서 49재의미는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해서 자녀나 후손들이 온 정성과 진심을 다해서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이 공덕의 힘을 받아 좋은 곳에서 다시 태어나고 그 소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준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공덕은 산스크리트를 번역한 말로 연기와 윤회를 근본으로 하는 불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행위로 종류는 냇물에 징검다리를 놓아 다른 사람들이 쉽게 건널 수 있게 하는 월천 공덕, 가난한 사람에게 옷과 음식을 주는 구난 공덕, 병든 사람에게 약을 주는 활인 공덕 등 매우 많으며 선한 마음으로 남을 위해 베푸는 모든 행동과 마음이 모두 공덕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49재의 의미는 죽은 이와, 그 조상들의 공덕을 위해서라고 볼 수 있으며, 불교에서도 무아설과 다른 육도 사상적 측면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라고 하는 천상, 인간, 축생, 아수라, 아귀, 지옥도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으므로 돌아가신 가족이

    이른바 삼악도(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바라는 마음이기도 합니다.

    49재 음식

    특별한 것은 없지만 몇 가지 올려서는 안 될 음식들이 있습니다.

    고춧가루, 마늘, 팥, 육류나 어류도 올려서는 안되지만 생전 고인이 좋아하셨다면 육류나 어류 정도는 준비를 해도 됩니다. "끝"

    [출처] 49재의미와 본질


  • 49재는 돌아가신 날을 1일로 합니다.

    49재는 불교의식인데 스님이나 불자가 사망하면 절의 법당에 위패를 봉안해두고 1주일에 한번씩 1재, 2재, 3재....식으로 7재를 올리고 그렇게 일곱번의 재를 올리는데 맨 마지막 7재를 49재라 하는 것입니다.

    49재는 위패를 봉안한 절의 주지스님이나 법사스님의 집전으로 행해지는 영가법회(천도재)입니다.

    49재는 불교식 탈상제입니다.

    절에 위패를 봉안하셨다면 해당 절의 주지스님이나 법주스님이 이르는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탈상제를 치르셨다면 매년 제삿날마다 제사를 지내면 됩니다.


  • 돌아가신 날자부터 기산하는 것입니다
    운명하신 날의 요일이 월요일 이라면 일곱번 째 월요일이 되겠습니다

    49재는 불교의식이며 7일 단위로 일곱번 갖는 불교례 중 마지막 칠재에 해당합니다.
    종교를 떠나 돌아가신 분의 명복과 극락왕생을 비는 순수한 마음으로 돌아가신 날부터 계산하여 49일째 되는 날 공양을 올리고 탈상하는 행사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근래에는 삼우제로서 탈상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삼우제는 발인한 날부터 기산하여 3일째 되는 날 (발인한 날의 모레) 유족이 장지에 모여 산소나 봉안당을 돌보고 예를 올리는 행사 입니다


  • 고인의 기일을 제1일로 삼아 계산해야합니다.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1일로 삼아서 계산을 하셔야 합니다.

    아마 돌아가시기 전날로 알고 계시는 경우는 현대 사회가 되면서 가족들이 모이는 시간대가 맞추기가 힘들어 가족들이 그나마 모이기 쉬운 저녁 무렵에 제사를 지내게 되면서 그렇게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여 궁근하신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돌아가신날 = 마지막으로 살아계신날 입니다.

    즉 돌아가신 날을 1일로 하여 예를들어서

    8/28일이 8월 마지막 화요일이라면

    9월 첫번째 화요일이 1재

    9월 두번째 화요일이 2재

    9월 세번째 화요일이 3재.......

    이렇게 7번 진행하면 49일이지요

    -

    49재란 인간이 죽은지 7일마다 명부 10왕의

    심판을 받는 기간에 지내드리는 천도의식입니다,

    그래서 49재는 저승의 문턱을 막 두드리는 영혼이

    저승으로 쉽게 갈수 있도록,

    후손들이 도와주는 천도재 의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1 재 - 칠일째 - 진광대왕(부동명왕) - 도산지옥

    2 재 - 14일째 - 초강대왕(석가모니불) - 화탕지옥

    3 재 - 21일째 - 송제대왕(문수보살) - 한빙지옥

    4 재 - 28일째 - 오관대왕(보현보살) - 검수지옥

    5 재 - 35일째 - 염라대왕(지장보살) - 발설지옥

    6 재 - 42일째 - 변성대왕(미륵보살) - 독사지옥

    7 재 - 49일째 - 태산대왕(약사여래불) - 거해지옥

    8 재 - 100일째- 평등대왕(관세음보살)-철상지옥-100일 탈상

    9 재 - 1 년째 - 도시대왕(대세지보살)-풍도지옥-제사로 대처

    10재 - 3 년째 - 오도륜대왕(아미타불)-흑암지옥

    궁금증이 해결 되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49재의 계산은 돌아가신 날이 기준이 됩니다. 돌아가신날을 1일로 잡아 49일이 되는 날이며 ​

    7일이 되는 날이 첫재, 14일이 이재, 21일이 삼재, 28일이 사재, 35일이 오재, 42일이 육재, 마지막 칠재가 49재입니다.

    참고로 49재 (사십구재)란? ​

    죽은지 49일만에 지내는 제사란 말이 아니고,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지 49일째이 되면, '일곱번의 생사를 거쳐 각과보를 감지하고 삼계 육도에 가서 태어납니다. 그래서 칠일씩 일곱번이 되는 49일에 불교의식을 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통적인 의례절차인 제례로서는 "49일제" 가 없고 불교의 종교의식으로 "49일재" 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