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누리함
누리함23.07.02

시계 산업으로 유명한 스위스 시계의 역사 및 변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스위스는 중립국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시계는 전자 산업이 발달해서 밀렸으나, 시계 고급화는 상당합니다. 인지도와 명성도는 대단하고 여전히 부의 척도입니다. 어떻게 보면 반도체나 군수 산업보다 더 알짜 산업으로 판단됩니다. 스위스 시계 산업 역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위스 메이드"의 정의는 51%의 공정(부품,인력)이 사용되고 시계 완성품 조립을 스위스에서 끝낸 시계를 의미합니다.

    즉 49%의 공정은 중국, 홍콩에서 하고 나머지를 스위스에서 끝내도 스위스 제품이죠.

    유명한 스위스 시계브랜드의 경우도 전부 스위스에서 제조되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스위스 완품이라는건 스위스에서 조립을 끝낸 시계라는 의미라는거 밖에 되지 않습니다.

    홈피에서 제품들을 보면 쿼츠 제품밖에 제작하지 않은걸 보니 ETA도 아닌 론다쿼츠를 사용한 제품으로 보이네요.

    브랜드 역사도 적어놓지 않은걸로 보아 아주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구요.

    스위스에서 완전히 다 만들어진 제품인지 아닌지는 스위스 시계업계에 있는분들만 알수 있고 일반인들은 그냥 스위스 메이드가 박혀 있는가만 보고 구입할수 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스위스에서 100% 제조된 시계 비슷하려면 로렉스급 이상은 되야합니다. 로렉스는 자체기술로 가장 여려운 부분인 헤어스프링, 벨런스, 탈진기 부품도 자체제작을 하니까요.

    스위스 시계브랜드로 티쏘, 해밀턴, 오리스, 론진, 오메가, 브라이틀링 등을 추천합니다.

    잘 모르는 브랜드는 듣보라고 보심 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 브랜드 로만손에도 스위스 메이드 시계가 있는데 로만손에서 스위스에 하청을 해서 OEM으로 제작을 해주는 방식이니까요. 쟈스페로도 한국 브랜드인데 스위스에 하청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구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위스 시계의 역사는 프랑스에서 종교적 박해를 받던 개신교도들이 스위스로 피신해 시계 제조 기술을 가져온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제네바는 시계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고 바쉐론 콘스탄틴, 파텍 필립, 롤렉스와 같은 유명 브랜드가 탄생했습니다. 스위스 시계는 정밀도와 품질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1, 2차 세계대전을 경험한 다른 국가들과 달리 중립을 유지하며 시계 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1970년대에는 쿼츠 시계의 등장으로 위기를 맞았지만 기계식 시계의 고급화와 혁신으로 이를 극복했습니다. 그래서 오늘날 스위스 시계는 고가의 명품으로 전통과 예술성을 지키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6세기 영국에서 대중의 생활과 행동을 규제하는 칙령을 내렸는데, 그 칙령 중에는 '종교적 귀금속 또는 사치품인 귀금속을 몸에 지니지 못한다'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그 후 유럽의 다른 나라들 역시 종교적 박해가 심해져 금과 귀금속을 세공하던 사람들은 스위스 제네바로 모여들었습니다. 이들 중 상당수가 시계 제조 기술자들이었고, 이들은 제네바의 귀금속 세공자들에게 시계 제조 기술을 가르쳐줍니다.

    16세기 말 제네바에서 제작된 시계는 그 품질에 있어서 최고의 명성을 얻었고, 시계 제조 기술자의 수가 늘어나면서 1601년에는 제네바 시계제작자조합이 탄생합니다. 18세기에는 제네바 인근에 있는 쥐라산맥으로 시계 장인들이 퍼져 나갔고, 19세기 그들의 후손들은 오토매틱 무브먼트, 퍼페추얼 캘린더, 미닛 리피터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차례로 발명했습니다.

    [출처] 스위스 시계 역사와 발전|작성자 효동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00년의 역사가 있는 스위스 시계는

    프랑스에서 유래된 것으로 16세기

    제네바에서 활동하던 '장 칼뱅의 종교 개혁 운동'의 영향 때문이었습니다.

    종교 혁명을 피해 온 위그노파 중 뛰어난 시계 제조 기술을 가진 장인이 많았는데, 당시 제네바에서 성행하던 귀금속

    제조 기술과 맞물리면서 새로운 시계

    산업이 꽃피우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