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붉은메추리240
붉은메추리240
25.04.03

엄청난 관세를 각국에 메기고 있는 미국의 트럼프정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미국 경제에 정말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망하는 길이 될까요?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각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 해소를 목표로 하지만, 장기적으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일부 산업이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수입 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고 기업 부담이 커지면서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 기업들이 타격을 입고, 글로벌 무역 환경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부과 정책은 미국의 무역수지적자를 개선하고, 세수를 확보하며 관세정책에 따라 미국내 투자를 하는 자본을 유입시키기 위해서라고 보여집니다. 다만, 관세정책은 아직 초반인 상황으로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 미국 정부의 전면적인 관세 부과 정책으로 인해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J.P.모건은 2025년 미국과 글로벌 경기 침체 확률을 기존 40%에서 60%로 상향 조정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관세로 인한 무역 긴장 고조와 공급망 혼란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러한 관세 정책은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투자 위축을 초래하여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로 인해 이러한 글로벌 무역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제품 분야에서 미국의 25% 관세 부과는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긴급 지원 조치를 발표하고,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무역 다변화 전략을 강화하고,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응해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각 국가와의 무역 적자를 기본으로 정한 것으로 알려신 상호관세가 9일부터 부과 도니다고 합니다. 기존의 관세율과 비교하면 10 % 에서 50% 이상 까지 상승했기 때문에 미국내 물가에도 큰 상승여파가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을 영국적으로 이끌어 갈것으로 예상하기에는 전세계적인 영향이 크며 다른 국가에서도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일것이며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게 될 70 % 를 상회하는 관세율을 감안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무역 구조를 활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