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물타기란 무엇일까요?
주식을 고점에서 매입해 이러지도저러지도 못하고 있고 계속 조금씩 떨어지고 있어요. 주식에서 물타기가 있던데 주식 물타기란 무엇인지 궁금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주식에서 말하는 물타기라는 것은 주식의 하락시에 추가적으로 저점에 주식을 매수하여서 주식의 평균매입단가를 낮추는 작업을 말하는 것입니다. - 다만 이러한 물타기를 하시기 위해서는 항상 주식을 처음부터 다 매수하시는 것이 아니라 분할 매수를 하시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물타기를 하기위해서는 결국 추가로 주식을 매입하기 위한 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타기란 평단가를 낮추는 행위입니다. 주식이 샀을 때보다 떨어졌을때 추가매수하여 평균매입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주식에서 물타기라는 것은 고점에 사서 물려있는 경우, 낮은 단가에서 추가로 매수해서 평균매수단가를 낮추는 것을 뜻 합니다. - 이렇게 하면 반등시, 손익 구간으로 빠르게 도달할 수 있습니다만, 추가로 하락하는 경우에는 손실금액이 늘어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000원에 10주를 샀다고 생각하면 평균 단가는 1,000원인데요 - 800원까지 주식가격이 떨어질 경우 800원에 10주를 추가로 사면 평균 단가는 900원이 되고 - 1,000원일 때보다 수익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 이런 방식으로 손실률을 줄여가는 것을 물타기라고 표현합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타기라는 것은 내가 보유한 종목이 손실이 났을 때, - 평균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매수하는 것을 - 의미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