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1.07

행성의 수명은 어떻게 추정 하는 건가요?

태양은 앞으로 몇 십 억년 뒤에 소멸 한다, 지구의 수명이 얼마 정도 남았다 등 행성이 앞으로 얼마나 살 수 있을지 추정 하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인 중 일부는 행성의 초기 조성, 질량, 구조, 내부 열에너지, 태양 별 활동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의 질량: 별의 질량은 그 별의 수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대체적으로 별의 질량이 클수록 그 별의 수명이 짧습니다. 왜냐하면 별의 질량이 클수록 핵융합 반응이 더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서 별은 자신의 '연료'를 더 빨리 소모하게 됩니다.

    별의 밝기와 색깔: 별의 밝기와 색깔은 그 별이 어떤 진화 단계에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별이 붉게 보이는 것은 그 별이 자신의 수명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별의 진화 단계: 별의 진화 단계는 별의 수명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별이 어떤 단계에 있는지를 알면, 그 별이 얼마나 오래 존재했는지, 그리고 얼마나 더 존재할 수 있을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태양 같은 경우, 약 46억 년 전에 형성되었고, 현재는 그 수명의 절반 정도를 소비한 상태로 추정됩니다. 앞으로 약 50억 년 더 지속된 후, 태양은 적색거성 단계를 거치며 팽창하고, 마침내 백색왜성이라는 마지막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의 경우, 태양이 적색거성 단계로 진입하면서 태양의 광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구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구의 생명체들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약 10억 년 후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앞으로 몇 십 억년 뒤에 소멸할 것이라는 추정은 우주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입니다. 태양은 수소와 헬륨 등의 원소를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태양의 질량은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태양의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지구의 수명은 태양의 수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태양이 소멸하면서 지구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의 수명은 태양의 수명보다 짧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수명을 추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과 기술로는 정확한 예측을 할 수 없습니다.

    행성의 수명을 추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행성의 질량과 밀도를 측정하여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행성이 얼마나 빠르게 질량을 잃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행성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의 궤도를 관측하여 행성의 자전 속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행성의 내부 구조와 회전 속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도 정확한 예측을 할 수는 없습니다. 행성의 수명은 매우 복잡한 과정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프린스턴 대학의 과학자들이 잘 알려진 뜨거운 목성형 행성인 WASP-12b 의 남은 수명이 천문학적인 관점에서 눈 깜짝 할 시간인 300만년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WASP-12b는 2008년 발견된 뜨거운 목성형 행성으로 지구에서 마부자리 방향으로 14,000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모항성과의 거리는 360만km에 불과하며 표면 온도는 섭씨 2600도에 달합니다. 공전 주기도 26시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WASP-12b 는 조석 고정에 의해 한쪽면만 모항성을 바라봅니다. 또 한가지 흥미로 사실은 표면에 탄소가 풍부하며 매우 어둡다는 것입니다. 알베도는 0.064에 불과해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행성 가운데 가장 어둡습니다.



    연구팀은 이 행성이 이미 별의 중력에 의해 내부가 접아당겨지면서 마찰이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점점 별에 가까워져 결국 행성이 파괴되지 않을 경계선인 로슈 한계(Roche limit, 위성이 모행성의 중력에 의한 기조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 과정은 300만년 안에 일어나며 WASP-12b는 결국 행성에 작용하는 별의 중력 차이가 너무 커져 파괴된 후 별로 흡수될 것입니다.



    별에 의한 행성 흡수는 생각보다 흔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별이 마지막 순간에 부풀어 오르는 경우 가까운 궤도에 있는 행성의 운명은 뻔할 수밖에 없습니다. 먼 미래 태양계 행성 역시 피할 수 운명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의 수명은 주로 그 행성이 속한 항성의 수명에 의해 결정됩니다. 항성의 수명은 항성의 질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태양 질량의 100배 이상인 밝은 별은 100만~1000만 년의 수명을 가지며, 태양 질량의 0.2배 정도 되는 적색왜성은 1조 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은 수소를 핵융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수소가 고갈되면 헬륨을 핵융합하기 시작합니다.

    점차 수축하고 밝아지다가 결국 항성은 너무 뜨거워지며 질량이 작은 백색왜성으로 변하고, 질량이 큰 항성은 초신성으로 폭발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는 수많은 행성과 별이 있습니다.

    이 별들은 자신의 수명에 따라서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런 각기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여러 가지 별의 모습을 관측하고 현재 행성이 어느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는지를 유추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