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솔직한멧돼지79
솔직한멧돼지79
23.11.25

시뮬레이션에서 빛의 속도를 정보량의 한계로 정한다면, 우주팽창은 구현될 수 있을까요?

빛의 속도로 정보의 물리적 이동량을 결정짓는 게 합리적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이론에 따르면 진공팽창은 빛보다 빠른데, 시뮬레이션에서는 팽창이라는 주제조차 정보로 입력되기에 빛보다 빠른 이동정보가 있어야한다는 모순이 있어보입니다.


1. 빛의 속도를 단위에서 폐기해야하는 걸까요?

ㄴ 왜 빛의 속도를 정보전달의 단위로 보는 것이 물리학에서는 정설인 것인가요? 그것이 시뮬레이션 우주에서도 합당한 것일까요?


2. 그게 아니면 진공팽창을 가정하는 인플레이션 시뮬레이션은 애초 실현이 불가능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11.25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 빛의 속도는 물리학에서 정보전달의 단위로 보는 것이 정설입니다. 우선 시뮬레이션 우주에서도 빛의 속도는 정보전달의 단위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우주는 실제 우주와는 다른 세계이기 때문에 빛의 속도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폐기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시뮬레이션 우주에서는 빛의 속도를 다른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인플레이션 이론에 따르면 진공팽창은 빛보다 빠른 속도로 일어난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에서는 팽창이라는 주제조차 정보로 입력되기 때문에 빛보다 빠른 이동정보가 있어야 한다는 모순이 있어보입니다. 인플레이션 이론은 실제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지만 시뮬레이션 우주는 실제 우주와는 다른 세계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이론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에서는 팽창이라는 개념을 다른 방식으로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에서 빛의 속도를 정보량의 한계로 정한다면 우주팽창은 구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는 이론적인 가능성에 불과하며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