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하늘나라에서선녀님이물을뿌려주네
하늘나라에서선녀님이물을뿌려주네23.06.23

조선시대 남아선호사상은 어떤 이유로 발달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부터 남아있던 남아선호사상은 아직도 일부 어른들에게는 잔재가 남아있는데요.

이 남아선호사상은 어떤 이유로 우리나라에 널리 퍼지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남아선호사상은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의 확산과 함께 강화되었으며,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 와서 직계가족제도가 강화됨에 따라 더욱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산업화 · 서구화의 진전으로 전통적으로 중시되어 왔던 가계 전승의 의미가 약화됨에 따라 남아선호사상도 빠른 속도로 약화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남아선호 사상의 기원은 유교 문화 입니다. 유교 문화에서는 남자들만이 과거 시험을 통해 출세의 길로 나아가 가문을 일으킬수 있다고 믿었고 또한 제사를 지내는 것도 남자들의 몫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이렇게 조선 시대의 유교 중심 문화는 남존 여비 사상을 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는 유교 전통의 문제라기보다 중국식의 종법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은 3000년 전부터 집안의 상속이나 제사와 같은 중요한 집안일을 모두 아들, 장남에게 맡기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래서 집에 아들이 없으면 양자를 데려와서라도 가계를 이어가게 했습니다.

    이 중국의 문화가 한국으로 넘어와 남아선호사상이 박히게 된것이며 이는 조선 건국자들의 사상때문으로 조선의 건국자들은 중국의 문화를 좋다고 여겼고 각종 중국의 문화를 조선에 대입시키면서 중국의 남자에게 돌아가는 종법까지 대입했습니다.

    이는 고위층들 사이에서 교조화가 이루어져 남존여비의 관념으로 굳어진 결과 성리학을 신봉하는 사림 세력이 득세하며 남아가 없을 경우 양아들을 들여 반드시 대를 이어야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남아선호사상이 생긴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집안의 대를 잇기 위해:** 한국은 유교문화권 국가로, 집안의 대를 잇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져 왔습니다. 아들만이 집안의 대를 잇을 수 있기 때문에 아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경제적인 이유:** 아들을 키우면 딸을 키우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다는 생각도 있습니다. 아들들은 장가들어 가면 집을 장만하고 부모를 부양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 **사회적 지위:** 아들을 낳으면 사회적 지위가 높아진다는 생각도 있습니다. 아들들은 딸들보다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고,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유들은 모두 잘못된 편견입니다. 아들을 낳는다고 해서 집안의 대를 잇는 것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아들을 키우는 것이 딸을 키우는 것보다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은 것도 아닙니다. 또한 아들을 낳는다고 해서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는 것도 아닙니다.



    한국의 남아선호사상은 이제는 사라져야 할 시대착오적인 사고방식입니다. 남아와 여아는 모두 동등한 존재이며, 누구나 자신의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