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따뜻한겨울
따뜻한겨울
23.08.06

빛의 속도의 과학적인 기준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빛의 속도처럼 빠르다고들 하잖아요. 그만큼 빠르다는건데 그럼 빛의 속도의 과학적인 측면에서 속도의 기준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탕한개미핥기272
    호탕한개미핥기272
    23.08.06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력은 현재까지 발견해낸 물질 중 가장 빠른 속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떠한 물질이라도 빛보다 빠르지 못하였죠.

    빛은 특이한 물질입니다. 어떤 관찰자가 관측하더라도 항상 빛의 속력이죠. 예를들어 달리는 기차에서 쏜 빛의 경우 달리는 기차에서 보아도 빛의 속력 초속 30만km이며, 기차 밖 정지한 사람이 보아도 빛의 속력 초속 30만km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물리학적인 상수로, 과학적인 기준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현대 물리학에서는 빛의 속도를 공기 중에서 약 299,792,458 미터/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값은 국제적으로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으며, 빛의 속도는 자연상수로 간주됩니다.

    빛의 속도는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인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는 모든 관성계에서 일정하다는 원리인 "빛의 상대성 원리"에 기반하여 이론이 구축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는 우주 및 시간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빛의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일상적인 경험에서는 거의 무시될 정도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그러나 이 속도는 전자기파의 전파로서 빛이 진행하는 속도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광속도'라 하며 일반적으로 빛의 진동수와 전달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진공 속에서는 진동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집니다. 대략 초속 약 30만km이며, 정확하게는 299790.2±0.9㎞/s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를 299,792,458 미터/초로 측정하였습니다. 이것은 광속이라고도 불리는 상수이며, 빛이 자유공간에서 움직이는 속도입니다. 이 광속은 빛이 이동하는 매질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든 관측자에게 동일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