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릿속에 고여 있는 피는 체외로 빠져 나가나요?
뇌출혈, 4년 10개월 정도 된 30대 환자입니다.
머리가 계속 아파서 머리에 침을 한 번 맞아볼까 해서 몇 주 전부터 일주일에 2번 한의원에 다니고 있는데
침을 맞고나서 머리 아픈게 거의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눈 아픈것도 없어진 것 같습니다.
뇌압이 안압까지 유발 한 것 같네요.
궁금한 점은 제가 시상하부 뇌출혈인데 그럼 출혈이 뇌에 고여 있다는 말인데
뇌에 출혈에 생기면 그 피는 외부로 빠져 나가나요? 아니면 계속 고여 있나요?
뇌의 깊은 곳에 출혈이 생기면 개두술을 해서 피를 뽑아내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출혈량에 따라 회복기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고여있던 혈액은 점차 녹아서 흡수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구조적인 변형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부분도 출혈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출혈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흡수가 됩니다. 이미 사고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났다면 흡수는 끝났을 겁니다. 출혈 직후 양이 너무 많을 때만 수술을 통해 피를 외부로 빼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뇌출혈이 무서운 이유가 두개골로 꽉 막아놔서 뇌압이 상승해서 그렇습니다
시상하부 였으면 정말 천운입니다 제거하기도 어려울 테고 난감했을 것 같네요
소량의 경우 자연스럽게 뇌조직에 흡수가 됩니다.
접근이 가능한 곳에 있는 출혈이라면 수술을 통하여 제거를 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뇌출혈은 뇌 조직 내부 또는 뇌 표면에 피가 고이는 것을 말합니다. 출혈이 발생한 위치와 양에 따라 증상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시상하부는 뇌의 중심부에 위치한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이 부위에 출혈이 발생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뇌출혈 후 고인 피는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흡수됩니다. 하지만 출혈량이 많거나 뇌압이 심하게 상승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 깊은 곳의 출혈에 대해서는 개두술보다는 스테레오탁식 흡인술(stereotactic aspiration)이나 내시경 수술 등의 최소 침습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출혈 부위에 직접 접근하여 혈종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4년 10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대부분의 출혈이 흡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의 증상이 뇌출혈의 직접적인 영향인지, 아니면 후유증이나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는 추가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침 치료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을 위해서는 신경외과 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