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굳센참매147
굳센참매14724.03.11

화학에서 몰, 아보가드로수의 관계

화학에서 몰수=질량/1mol의 질량(n=W/M)

여기서 질량은 어떤 원자의 질량수인가요 아니면 실제 질량인가요?


그리고 위에 나오는 공식은 어떻게 유도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물질의 실제 질량을 의미하죠.

    아보가드로수는 분자구조식이나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상수입니다.

    단적인 예를 들어서 산소 원자 한 개는 수소 원자 두 개와 결합해서 물 분자 한 개를 만들기 때문에, 1 몰의 산소는 2 몰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 1 몰을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1mol=어떤 원자의 개수가 6.024*10^23개 라는 뜻입니다.

    (이 1mol은 온도 압력 부피가 같다면, 수소든 산소든 모두 1mol(6.024*10^23개)가 들어갑니다.)

    즉 수소 1몰은 수소원자가 6.024*10^23개가 있다는 말이에요.

    이 수소원자의 원자량은 약 1g/mol로

    수소원자 6.024*10^23개가 모여야 거의 1그램에 가까워진다는 의미 입니다.

    산소의 원자량은 약 32g/mol로

    수소원자 6.024*10^23개가 모여야 거의 32그램에 가까워진다는 의미 입니다.

    즉 원자 자체의 질량은 원자량으로 비교하고, 몰 수는 수량을 나타냅니다.

    2*수소+산소->물 의 반응에서 수소가 4몰, 산소가 1몰이라면

    2몰의 수소와 1몰의 산소가 결합해 1몰의 물을 만들고 2몰의 수소가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