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3.23

중세부터 근현대까지 유럽에서는 몽정을 금기시 했다던데, 어떤 이유 때문이었나요?

기독교가 유럽 전역에 퍼졌던 중세에서도 그리고 산업혁명이 시작된 이후에도 유럽에서는 몽정을 규제화하고 죄악으로까지 여겼다던데요. 그렇게까지 한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유럽에서 몽정을 규제하고 죄악으로 여긴 것은 종교적 이유가 있습니다. 중세 유럽에서 기독교 교리와 연관되어 성적 순결과 절제가 중요한 덕목을 여겨졌습니다. 즉 몽정은 자제력의 부족과 육체적 욕망의 표현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일부 초기 기독교 사상가들은 몽정이나 성적인 꿈을 경험하는 것이 개인의 도덕적 상태를 반영한다고 믿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의 성관념때문입니다

    아예 창세기라는 경전에

    이브(=여자)가 뱀에 홀려서 사람이 에덴동산에서 쫓겨남 이라고 써져있는 것 처럼

    기독교는 순결, 금욕에 관해서 정말 미친듯한 집착을 보였기 대문에

    수도원, 수녀원에 각각의 이성을 출입 금지시키고

    정조대를 유행시키고 하는 등의 각종 이상한 악습들을 많이 세웠었습니다

    그러는 한편 생육하고 번성하라면서

    자식은 많이 낳으라고 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었죠

    그리고, 과학적 사고가 발달한 현대에는 몽정이 성장기 호르몬 이상 때문에 생기는

    자연스런 현상이란 것을 누구나 알 고 있지만

    중세시대엔 그런거 몰랐기 때문에 몽정은

    성욕의 폭주나 악마의 유혹같은 이상한 일때문에 생기는 질병의 일종으로 여겼으며

    정액을 낭비해서 자식을 덜낳게 한다 생각해 범죄로 지정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