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아시아의 도자기가 유럽에서 인기를 끌었던 이유가 뭔가요?

아시아의 도자기, 특히 중국의 청화백자는 17세기에 유럽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던데요. 굳이 도자기를 중국까지 와서 수입한 이유가 뭔가요? 중국의 도자기 기술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나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시아 도자기는 높은 소성 온도와 발전된 유약 기술로 인해 얇고 단단하며 투명한 질감을 자랑했습니다. 또한, 섬세한 도안과 화려한 색채로 장식되어 유럽 도자기와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매력을 가졌습니다. 특히, 청자기의 맑고 푸른 유색과 백자의 깨끗하고 섬세한 표면은 유럽인들에게 큰 감명을 주었습니다. 당시 유럽 도자기는 아직 기술적으로 미숙했습니다. 도자기가 아닌 토기로 제작되어 부서지기 쉬웠고, 유약 기술 또한 발전하지 못해 불투명하고 거칠었습니다. 16세기 이후 유럽 귀족들은 사치와 화려함을 추구하는 풍조가 나타났습니다. 아시아 도자기는 이러한 귀족들의 취향에 맞는 예술품으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중국의 황제들이 사용하던 청자기는 유럽 귀족들에게 권위와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7세기 후반 유럽의 왕후 귀족들에게 장식용으로 아리타 야키가 유행하게 되면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이를 대량으로 유통시켜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유명해졌습니다. 중국의 청화백자가 '백색의 황금'이라고 불리며 부와 권력의 상징이 되었고, 이에 따라 유럽에서는 중국의 청화백자를 직접 만들고 싶어 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독일의 아우구스트 왕은 아리타 도자기에 매료되어 자신의 군대를 팔아치웠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아시아의 도자기는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 그게 이유입니다

      유럽은 물에 석회질이 많고, 근처인 중앙아시아와 아프리카는

      물 자체가 매우 희귀하기 때문에

      질좋은 진흙이 중요한 도자기 관련 기술이 거의 발달하지 못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