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심해진 아기는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간혹 손가락을 입으로 가져가는 모습을 보이다가, 점점 더 습관적으로 변하게 된다면 가정에서 부모들은 어떻게 대처해주는게 좋을까요? 심해지면 나중에 치열에도 문제가 생긴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손가락을 입으로 가져가는 습관은 흔히 안정을 위해 시작되며, 대부분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습관이 오래 지속되면 치열과 구강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부모의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우선 아이가 손가락을 빨기 시작하는 상황을 관찰해보세요. 긴장하거나 피곤할 때 손가락을 자주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아이가 스스로 안정감을 찾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입니다. 부모는 손가락 대신 다른 방식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부드러운 이불을 주거나, 편안한 환경에서 아이와 함께 독서를 하는 등 긍정적인 대체 활동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손가락을 입으로 가져가면 지나친 꾸지람보다는 부드럽게 손을 내려놓는 식으로 관심을 다른 데로 돌려주세요. 손가락을 빨지 않을 때는 칭찬을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손가락 빨기 습관이 지속될 경우, 부드럽게 손을 사용하지 않도록 유도하는 습관을 만들거나, 아이가 손을 입에 가져가는 대신 손으로 하는 놀이를 제공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애정결핍, 욕구불만, 심심하고 지루하고 따분하고 심심해서, 배가 고파서, 불안해서, 원.학교.학원에서 손가락 빠는 친구를 보고 따라한 경우 등 이유가 다양한데요.
대표적인 원인은 심리적인 문제로 인해서 손가락을 빱니다.
그렇기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 보면서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아이가 손가락을 빨려고 한다면 그 즉시 아이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유도 하여 주거나 아이의 손에 장난감을 쥐어주거나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찾아서 함께 놀이를 해주면 좋을 것 같구요.
더나아가 아이에게 손가락을 왜 빨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손가락을 빨게 되면 각 종 세균에 감염 될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못 빨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손가락을 빨게 되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순기능도 있습니다
아기를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해주고 다른 것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주로 어떤 상황에서 손가락을 빠는지 관찰 하여 주시고,
그러한 상황(스트레스, 불안함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손가락 인형이나 손에 장난감을 쥐어 주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장난감이나 부드러운 천 등 손을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을 주어 손가락 대신 관심을 끌도록 합니다. 피곤할 때 손가락을 빠는 경우가 많으니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유지해 피로를 줄여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심해졌자면 손가락을 빨때 아기의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리면서 자연스럽게 손가락을 빼서 다른 활동에 관심을 갖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자주 빠는 경우 주의를 다른 활동으로 돌리고 긍정적 보상으로 습관을 줄이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손가락을 빠는 습관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손을 입에 가져갈 때 다른 활동으로 관심을 돌려주고 긍정적인 강화로 습관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