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23.08.04

아이가 자폐가 있는 지 확인해보려고 하는데, 자폐증상은 언제쯤 나오나요?

아이가 자폐가 있는 지 확인해보려고 하는데요.

자폐증상은 언제쯤부터 나오고, 어떤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나요?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나 기준 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지연 보육교사blue-check
    천지연 보육교사
    어울누리
    23.08.04
    육아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자폐란 신체적, 사회적, 언어적으로 이해 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신경질들 장애를 가리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3살이 되기 전 자폐 징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조기진단 방법으로는 웃지 않는 아이 , 특정 물질에 집착하거나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 옹알이를 다른 아이들에 비해 늦게 시작하거나 자신의 이름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혹은 10개월이 가도록 소통 시에 제스처를 보이지 않고 아이컨택을 잘 하지 않는 등 행동이 있겠습니다.

    이외에도 알아주려고 할 때 손을 뻗는 등 안기려는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뒤집기, 기어다니기, 일어나기와 같은 운동 신경이도 지연이 발생한다면 소아정신과에 방문해 전문의와 상의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4.09.22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조기 증상을 체크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지만, 정확한 진단은 전문가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만 2세 아이에게 나타날 수 있는 조기 자폐 증상은 아이가 눈맞춤을 잘 하지 않거나, 이름을 불러도 반응하지 않고, 반복적인 행동을 자주 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언어 발달이 지연되거나, 특정 소리나 자극에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무관심한 경우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상호작용을 잘 하지 않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 보인다면 이런 부분도 주의 깊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자가검진이 자폐 여부를 명확히 판단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징후가 보인다면 소아과나 전문 상담가에게 조기에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페증상은

    1.24개월이후부터볼수있으며

    2.사회성부족

    3.옹알이하지않음

    4.언어지연

    등으로판단가능할수있으나 경과를 조금더보는게정확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의 진단 기준은 폭 넓은 분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개개인의 자폐 행동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의사들은 어떠한 증상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을 내릴 때가 많습니다. 자폐의 증상은 대부분 아동기부터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편입니다.

    진료를 받으시려면 대학병원 소아정신과 예약을 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정확하십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증상은 만3세정도는지나야어느정도나올수있으며

    걷는것이나 발달사항 언어능력들을고려해보시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스펙트럼은 보통3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보호자와의 애착 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가 점 점 떨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 이름을 불렀는데도 쳐다 보지 않는다면 호명 반응이 안되는지 살펴 보셔야 합니다

    부모와 전혀 의사소통이 안되거나, 눈 마주침이 안되면 병원에서 상담을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조금씩 시기는 다르나

    18개월 정도부터 자폐발달검사가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 검사는 보통 3세 36개월 이후 검사를 합니다. 우리 아이의 행동 중 뭔가 의심되는 부분이 있어 일찍 병원을 가도 너무 어린 개월 수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검사를 잘 해잘 권유하지 않습니다.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자폐 행동은 눈마주침이 안되거나 호명 반응이 안되거나 상동행동을 하거나,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타인과의 관계를 어려워하는 등 다양한 부분에서 나타 날 수 있습니다. 또는 사물에 대한 반복적인 정렬이나 과도한 애착, 공감 부족도 지켜보시는게 좋습니다.

    36개월 이후에 자폐 진단을 받지만 그 전에라도 불안한 마음이 있으시다면 상담을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 성향에 대한 발달 검사는

    생후 18~24개월 정도부터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