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나 드라마 같은 곳에서 우주를 배경으로한 공간이동이 궁굼합니다.
우주에서 먼 우주로 가기위해 웜홀을 이용하는 스토리가 많은데요.
웜홀에 들어갈때,
눈으로보기엔 납작해지고, 일직선으로 보여져서 공간이동을 하더라고요.
하늘의 별들도 멀리서보면 빛의 선만 보이는 걸로봐선
그냥 영화적인 상상인건가요?
아님. 블랙홀같은곳에 빨려가는것처럼. 길게 늘려져서 소용돌이처럼 들어가는 현상처럼 일직선으로 뿅하고 들어가나요?
웜홀은 블랙홀 이라고 하기도하던데,
블랙홀마냥 우주선이 늘어진 껌딱지마냥 들어갈까요?
아님 태풍에 쓸려가는 개미마냥 허우적 거리며 갈까요?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웜홀은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를 의미하는 가상의 개념입니다.
우주의 시간과 공간의 벽에 난 구멍에 비유할 수 있다.
웜홀에 관한 이론은 독일 태생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웜홀은 가상의 개념이라 정확히 어떤 현상이 발생될지는 확인이 되지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웜홀은 일반적으로 우주의 공간을 단축시켜주는 특수한 공간 구조로 설명됩니다. 이론적으로는 웜홀을 통해 우주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웜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우주를 이동할 수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웜홀이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 정확히 알려진 사실은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웜홀을 블랙홀과 비슷한 형태로 상상하고 있습니다. 블랙홀은 우주의 질량이 너무 커져서 중력이 너무 강해져서, 빛도 포함한 모든 물체가 끌려들어가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지점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웜홀도 우주의 질량이 모여서 공간이 굴곡되어 원통형 또는 구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가설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미래에는 어떨지 정확히 예측은 하지 못하겠습니다. )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공간이동이라는 이론이 순간 광속으로 가속되어 광속(시간의개념)과 같은속도로 운동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이 멈추게 된다는것입니다. 음.,,, 상대성이론아시죠 ?? 상대성이론의 개념정도 아신다면 이해하시기가 쉬울텐데., 음.,,, 쉽게설명하자면.,
시간은 빛의속도(광속)로 진행되는데 우리가 그빛의속도로 운동함으로써 시간과 같이 흐르게되고, 시간과 같이 흐른다는것은 내가볼때 시간은 멈춰있는것으로 보인다는 것입니다. 즉., 광속을 따라잡음으로써 내가 시간을 뛰어넘게되고, 미래로 갈수있다는 것이죠.,(예로 들자면 흔히 이런만들 듣죠?? " 저 별빛은 몇만년전 또는 수억년전의 빛이다". 뭐 이런 비슷한 개념입니다.) 이런 이론이라면 가능할것도 같지만, 외부적인것을 고려해봅시다.
일단 우리가 광속으로 과속된다면 우리몸이 견디지를 못할것입니다. 흔히 사람들이 우주선을타고 하늘로올라갈때 ., 또는 전투기 조종사들이 높은고도에서 떨어질때., 기타등등., 그속도만큼의 압력이 우리를 누르게됩니다. 쉽게설명하려면., 공식으로푸는게.,,좋긴하지만 그려면 더 어려워질듯.,
아무튼 우리몸이 광속에서 버티지 못하는이유와함께 무엇보다 우리는 아직 광속까지 가속할수있는 기술이 없다는것입니다. 원자를 가속시켜 광속에 가깝게 만드는것은 현재로서는 가능하지만 사람을 그렇게한다는것은.,, 아직 무리입니다.
결론은 미래에도 불가능 할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