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는 승화성인가요 아니면 승화성 물질이 아닌가요?
서리는 똑같이 승화되고 그러는데 왜 아닌거죠? 궁금합니다 기체에서 고체로 고체에서 기체로 되는것은 승화라고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는 물질이 기체에서 고체로 변하는 것이 아닌 기체 상태의 물질이 고체 상태의 물질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를 승화라고 합니다. 서리는 승화성 물질이 아니라 승화성이 아닌 물질입니다. 승화성 물질은 기체에서 고체로 변할 때 승화가 일어나는 물질을 말합니다. 서리는 물이 기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할 때 승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승화성 물질이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는 승화성 물질입니다.
승화란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체 상태로 변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서리는 고체 상태의 얼음이기 때문에, 0도 이하에서는 융해 과정 없이 바로 기체 상태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리는 승화성 물질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가 승화되지 않는 이유는
서리가 이미 승화된 상태
이기 때문입니다.
승화는 고체 상태의 물질이 직접 기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서리는 이미 기체 상태였던 수증기가 찬 표면에
응결되어 고체 상태로 변한 것입니다.
서리가 다시 승화한다는 것은 이미 고체 상태인 서리가
다시 기체 상태로 변한 후 다시 기체 상태인 수증기가
찬 표면에 응결되어 고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불가능한 과정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서리가 사라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리가 주변온도가 상승하면
액체 상태의 물로 변하고 액체 상태의
물은 증발하여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됩니다.
서리가 주변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더라도 햇빛이나 주변 온도
의 영향으로 서서히 녹아 액체 상태의 물이 됩니다.
액체 상태의 물은 증발하거나 땅으로 스며들 수 있습니다.
서리는 승화하지 않고 증발이나 융해를 통해 사라집니다.
승화는 일반적으로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과정이지만 낮은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서리는 겨울철에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봄이나
가을에도 낮은 온도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