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28

왜 신학기는 3월부터 시작할까요?

제가 아는 대부분의 나라는 새로운학년의 시작을 3월부터 합니다. 근데 이 당연히 여겨지는게 왜 1,2월이 아닌 3월일까요? 역사적으로 이유가 있던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3월에 학기제를 실시하는 나라는 한국, 일본을 제외하면 칠레나 아르헨티나 정도 밖에 없다고합니다

    전세계 북반구 선진국들 중 상당히 많은 수가 9월 학기제를 실시하고 있다하죠

    조선시대까지 거슬러올라가보면 우리 조상들은 동짓날에 입학식을 치렀다는것을 알 수있습니다

    대략 12월 중후반부터 신학기였다는 셈이죠

    그 이후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4월 3학기제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었고 해방이 되면서 미군정에 맞춰 9월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다가 5.16군사정권이 4월이던 신학기를 3월로 변경한 후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때 3월로 바꾼이유가 1,2월어 방학하여 학교 난방비를 줄이기위해서라고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3월 학기제'는 6.25 전쟁이 끝나고

    나서야 도입이 됐다. 지난 1956년,

    문교부가 대학 첫 학기시작을 3월 1일로 변경하자고 주장했다.

    그 이유로 개강 직후는 입학이나 등록 등 각종 사무로 인해 학습에만 전념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였다.

    학습하기 좋은 계절과 날씨인 4월을

    낭비하게 된다는 이유로 한 달 빠른

    개강을 주장했다.

    또다른 이유로는 1, 2월에 방학을 하여 학교 난방비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알려져 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교육법을 제정하면서 4월 신학기제로 돌아갔는데 이유는 회계연도때문으로 당시 우리나라 회계연도는 일제 강점기에 쓰던 그대로 4월1일부터 다음해 3월 31일까지로 회계연도와 학기제의 시작을 맞추는 것이 여러모로 편리하고 효율적이라 변경되었습니다.

    5.16군사정변 이후 3월 학기제로 변경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국가 회계연도가 개정되었고, 개강 직후에는 바로 학습에 전념하기 힘들다보니 학습하기 좋은 계절인 4월을 낭비하게 된다는 의견으로 개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동짓날에 입학식을 치뤘다고 합니다 대략 12월 중후반 쯤부터 신학기였다는 셈이죠. 이후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4월 3학기제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었고, 5.16 군사정권이 4월이던 신학기를 3월로 변경한 후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입니다 이때 3월로 바꾼 이유는 1, 2월에 방학을 하여 학교 난방비를 줄이기 위해서라고도 하고, 학교내의 열악한 절력설비 탓이라고도 하죠.


  • 안녕하세요 ^^

    1,2월은 너무 춥고 밖에 나오기 힘들어

    3월로 정한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아

    봄이오고 따뜻할때 외출을 많이 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