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의 의사들은 원격진료를 반대하는데 어떤 이유로 그런 것인가요?
최근 병원이 없는 그런 지방에 원격진료를 추진하자는 의견이 있는데
이런 의견에 반대하시는 의사들도 있던데
어떤 이유로 원격진료에 반대를 하시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성주영 한의사입니다.
올려주신 내용은 잘 읽어보았습니다. 병원에 없는 지역에서 원격 진료를 하는 것이 어떤지, 이것에 왜 반대하는 것인지 궁금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원격 진료를 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병원에 가지 않고도 편하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지만 환자를 파악하는데 있어 한계가 분명하게 존재합니다. 바이탈 사인을 측정하거나 촉진, 청진 등에 어려움이 있고, 대부분 환자에게 물어보는 것을 통해서만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이로 인해, 정확하게 진료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원격 진료를 하는데 급성 질환이거나 응급질환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적절한 의료적 처치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진료를 정확하게 하지 못하여 치료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고 각종 책임으로부터 자유롭지도 않기 때문에 의료진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에 대해 조금이라도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
원인이야 다양하기 때문에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원격 의료가 되면 상당수의 처방전 발행으로 먹고 사는 의사들이 타격을 입게 됩니다. 원격의료가 가능하면 소위 대형 병원과 같은 특정 의료기관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쿠팡이 들어오고나서 소매 판매점이 싹다 망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의료는 특수합니다. 이런 식으로 하면 지방의 의원들 중에는 망하는 의원이 많아질 것입니다. 하지만 그 의원들이 처방전만 발행하는게 아닙니다. 처방전이야 서울의 대형병원에서 원격진료로 받으면 그만이지만 초음파 내시경과 같은 시술들은 원격으로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의원들이 하나둘 사라지면 결국 불편은 환자의 몫이 되겠지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저는 환자를 진료할 때 필요하다면 한명을 30분정도 진찰할 때가 있습니다.
말로만 물어서 알 수 없고 직접 환자를 보고, 진찰해서 파악하는 정보가 많은데 이런 진찰 없이 문진만으로는 오진이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자세한 진료가 이루어지기 어렵습니다.
지금도 자세히 진료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원격진료를 하게되면 진료의 질이 더 떨어질것이 우려됩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