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푸른고릴라153
푸른고릴라15322.12.29

반도체 산업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반도체 산업의 전망은 어떻게 예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올해는 반도체 산업이 매우 저조하였는데 내년에도 비슷한 실적이 나올지 긍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는 사이클 산업이라고 합니다. 22년에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로 인하여, 반도체에 대한 수요은 급감하면서, 재고과다 현상으로 관련업체들의 공장 가동 또한 크게 위축 되었고, 반도체 가격 또한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반도체 산업이 반등하기 위해서는 전체 경기의 반등이 필요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하반기부터 전체 경기가 반등한다는 얘기가 있고, 간혹 경기 침체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사견입니다만, 올해 워낙에 안좋았기 때문에, 기저효과로라도 23년에는 상대적으로 좋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반도체와 같은 경우에는 제4차 산업혁명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ai, 인공지능, 전기차, 자율주행, 로봇 등 우리 사회에

    안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물론 경제상황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수요 등이 줄어들 수는 있겠습니다만

    앞으로는 유망하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내년엔 실적이 더 안좋을겁니다. 재고가 넘쳐서 상반기까지는 재고털이로 실적이 안좋고 하반기는 약간 회복할거라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내년까지만을 바라보게 된다면 반도체 시장의 전망은 매우 어두운 상황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메모리반도체의 경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싀 재고가 전년 연말 대비 60%이상 상승한 상태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반도체의 특성을 생각한다면 6개월이상이 경과되는 반도체는 악성재고가 될 소지가 많아서 저가판매를 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모든 산업에 반도체가 들어가다 보니 반도체는 '원자재'급으로 경기의 사이클에 큰 영향을 받는 산업이 되었는데, 글로벌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보니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반도체의 판매가격도 30%이상 하락하고 있습니다.

    즉, 판매량도 감소하고 있는 상태에서 판매단가까지 하락하게 되는데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경우 작년과 올해 직원들의 임금인상율이 8%~10%수준으로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여 생산원가는 큰 폭으로 상승한 상황이다 보니 마진의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금리인하나 양적완화를 통한 소비수요가 살아나기 전까지는 반도체 시장은 큰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으며 줄어든 파이를 차지하기 위한 '치킨게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아무래도 SK하이닉스가 굉장히 불리한 위치에서 전쟁을 해야하는데 심각한 경우는SK하이닉스는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단행해야지만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는 수준까지 타격을 받을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