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전기기사·기능사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전기기사·기능사자격증
조용한사마귀12
조용한사마귀1224.06.04

시험 문제로 나오는 전기 안전을 위한 보호 장치(차단기, 퓨즈 등)의 종류와 작동 원리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 안전을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착용해야 하는 여러 가지 보호 장치들이 있잖아요 이런 보호 장치들의 종류와 작동 원리에 대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설비 안전담당자입니다. 전기설비에 대표적인 보호장치는 차단기가 있습니다. 이것은 누전차단기와 배선용차단기를 나뉘어 지고, 둘의 큰 차이는 누전을 잡아낼수 있으면 누전차단기 과부하 또는 단락 전류를 제한만 하는것은 배선용 차단기입니다. 퓨즈는 기본적으로 전류가 갑자기 높아졌을 때 끊어짐에 따라 선로를 보호합니다. 그리고 다시 복구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퓨즈는 과전류 발생시 과전류 감지하여 금속 재료가 녹아서 전기 회로에 단선을 발생하여 과전류된 전류가 전자장치에 흐르지 않도록 해줍니다. 차단기 같은 경우는 과전류 또는 누전이 발생 했을때 감지하여 차단기가 내려가서 전자장치를 보호 해줍니다. 차단기는 스위치 기능을하여 수동으로 작동하거나 자동화 됩니다. 차단기가 자체가 고장 나지 않을 이상 교체하지 않해도 되지만 퓨즈가 작동시는 무조건 교체 해줘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차단기와 퓨즈의 동작원리는 동일합니다.

    설정전압 설정전류이상으로 도달시 퓨즈내부의 선로가 끊어지고 차단기는 Off가 되는거죠.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전기 보호장치 중 차단기와 퓨즈 등이 있는데 차단기는 전류 통전을 열거나 끊기도 하지만 과전류나 단락전류 누전전류 등이 발생시 설정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차단되고 퓨즈도 과전류나 단락 발생시 내부 도선이 끊어져 회로를 차단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