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금속을 섞어서 만든 합금이 원래 금속보다 더 단단해지는 이유가 뭔가요?
철이랑 크롬을 섞어서 스테인리스강을 만들면 녹이 안 슬뿐만 아니라 더 단단해진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금속끼리 섞으면 왜 더 단단해지는 걸까요? 오히려 순수한 금속이 더 단단할 것 같은데 말이에요 구리랑 주석을 섞어서 청동을 만들어도 더 단단해진다고 하잖아요 이게 어떤 원리인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금속의 경우 자신만의 독특한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순금속의 경우 일정한 구조를 지니게 되어 있죠.
그러다 보니 어떤 방향은 잘 파괴가 일어나는 곳이 있고 그렇지 않는 곳이 잇죠.
하지만, 합금의 경우에는 기존의 금속 구조에 새로운 물질이 첨가되면서
새로운 금속구조를 만들게 되죠.
그리고, 이 새로운 금속구조는 기존금속 구조보다 더욱더 복잡하거나, 방향성을 더욱더 복잡하게 지니게 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깨질 확률을 무지하게 낮추게 됩니다.
((합판을 쌓을때 그 결을 다르게 해서 쌓는 것을 상상하시면 됩니다.))
금속공학적관점으로 설명하면
금속은 '전위'의 이동으로 인해도 파괴가 일어나거나 변형이 발생됩니다. 하지만, 합금은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조건이 늘게 되어서 훨신 단단해 지게 되는 거죠.금속을 섞어 만든 합금이 더 단단해지는 이유는 고용강화 때문이에요. 다른 금속 원자가 들어오면 금속의 격자가 변형되고, 이로 인해 내부 구조가 전위 이동을 방해해 강도가 높아져요. 예를 들어, 철에 크롬을 섞으면 스테인리스강처럼 더 단단하고 녹에 강한 합금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