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지방이란 무엇인가요? 이 수치가 높으면 안좋은 이유가 무엇이며, 개선 방법은?
콜레스테롤 수치와 상관관계가 있는 중성지방은 무엇인가요? 또 이 수치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약 말고 방법이 있나요?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상지질혈증에 대해 이야기할 때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일병 좋은 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LDL, 나쁜 콜레스테롤) 3가지 정도를 중점으로 봅니다.
중성지방 포함하여 이상지질혈증이 있으면 동맥경화등을 악화시키고 혈관질환 합병증을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금연, 금주, 건강한 식습관, 적당한 운동등이 도움이 됩니다. 오메가3 등 약물 복용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중성 지방은 체내에서 합성되는 지방의 한 형태로 지방이 있는 고기나 기름으로 만들어진 음식 등을 먹으면 지방 성분이 위와 소장에서 분해된 뒤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합성됩니다. 합성된 중성지방은 혈액과 함께 각 조직으로 이동하며, 평소에는 피부 밑이나 간에 저장되어 있다가 칼로리 섭취가 부족한 경우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분해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한 중성지방은 피하지방이 되어 체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내장지방 형태로 저장돼 장기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중성지방은 대부분 내장지방 형태로 저장되는데, 과다한 중성지방으로 복부비만이 생기면 고혈압, 비만, 지방간 등 신진대사와 관련된 질환이 한꺼번에 나타나는 대사증후군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중성지방이 많아지면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하게 되는데, 혈액 내 증가된 중성지방은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혈관벽에 쌓이는 것을 돕는 반면 동맥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HDL 콜레스테롤은 감소시켜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이 나타나게 되고 이후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 외 동물성 지방이 많은 음식이 특히 중성지방을 늘리기 때문에 식단을 조절하고, 금주, 걷기나 수영, 등산 등 유산소운동을 반드시 20분 이상, 주 3회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