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커머스를 통한 수출입 거래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E-커머스를 통해 새로운 수출입 경로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하지만 온라인 거래의 특성상 물류, 결제, 관세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e-커머스를 통한 수출입에서는 물류와 결제, 관세 문제를 사전에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류의 경우 신속하고 안정적인 배송망을 확보하고, 고객의 위치에 따라 적합한 운송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물류 지연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운송업체와 협력하고, 추적 시스템을 도입해 실시간으로 화물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결제와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결제 옵션을 제공하고, 국제 거래에 필요한 보안 시스템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거래 대상국의 관세 규정을 철저히 분석해 예상 비용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비용이나 통관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 거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E-커머스로 불리는 무역환경은 b2b보다는 b2c환경으로 많이 말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가 보았을때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물류적인 관리입니다. 비교적 소액/소량의 물품을 송부하는데 있어서 일반 무역보다 물류비에 대한 비중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풀필먼트 시스템을 활용해 업무적인 효율화를 하거나 그것이 아니어도 물류 시스템 최적화(바코드 시스템 등)을 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별 상품등록, 판매, 결제 시스템 활용 등 여러가지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여러가지 지원을 하는 기관들이 있으니 이를 확인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https://kr.gobizkorea.com/kruser/main.do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먼저, 물류 관리 최적화를 위하여 물류파트너를 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국제 거래에 적합한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다양한 통화를 지원하고,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관세 쪽은 국제협약 및 관세법에 따라 전자상거래 물품이 일정 금액 이하인 경우 간소한 통관 절차를 적용받을 수 있으므로, 해당 기준을 숙지하여 통관 절차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면제 한도금액은 국가마다 다르기에 이에 대하여 미리 알려주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