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고급스런청설모29
고급스런청설모2921.08.22

편두통 심해서 일주일넘어서요 신경과가야해요?

두통약 맨날 먹어서 효과없고 힘들었어요

무슨병인지 알수도 없어요

신경과 가야해요?

피검사받았는데 염증수치가 높아서 두통심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전체 두통의 70~80%를 차지하는 긴장성 두통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잘못된 자세를 고치면 좋아질수 있습니다.스트레스나 잘못된 자세가 머리 주변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켜 생긴 두통이기 때문입니다. 긴장성 두통은 짧게는 10분 정도, 길게는 한 시간 이상 지속되고. 주로 이마, 턱관절, 귀 뒷쪽이 조이듯 아픕니다.긴장성 두통이 있을 땐 긴장된 근육을 손으로 마사지하면 두통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목 뒷덜미나 승모근, 귀 뒷쪽을 지긋이 누르면 됩니다. 두통의 10% 정도인 편두통은 머리 안쪽 혈관 신경이 과민해져서 생깁니다. 관자놀이 주변이 주로 아프고 맥박에 맞춰 지끈거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혈관을 둘러싼 신경이 예민해지면 혈관이 조금만 확장돼도 통증이 생기는 것인데 .밝은 빛이나 큰 소리 등으로 심화될 수 있어서 이를 피하고, 편두통약을먹는 게 도움이 됩니다. 편두통이 지속될 땐 신경과 진료를 보시길 권유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통 두통의 경우 스트레스성인 경우가 많습니다만,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실때 심각하다는 생각이 드시면 신경과에 내원하셔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병원에 가셔서 정밀검사했는데 큰 이상이 없다면, 신경성인 경우가 많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두통을 완화 시킬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수면

    - 스트레스 조절

    - 카페인, 술, 흡연 줄이기

    - 이 악무는 습관 고치기(평소에 생각을 하거나 신경을 쓰실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저작근이 과도하게 수축하여 뇌로가는 혈류량이 줄어 두통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눈주위 아이스찜질

    - 목, 어깨의 주기적인 스트레칭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몸의 염증이 있을 경우 두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염증 수치가 높은 것 하나만으로는 두통의 원인을 정확하게 감별할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의 두통의 기질적 원인은 염증 수치와 무관하기 때문입니다. 두통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신경과에 방문하시어 진료 및 검사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두통은 특별한 원인 없이 한쪽 머리가 쑤시듯 아픈 증상을 보입니다. 일반인의 약 10%가 편두통을 앓는 다고 합니다. 원인은 정확히 밝혀 진 바가 없으며 갑작스러운 신체내부 또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뇌신경과 혈관계통의 비정상인 반응으로 통증이 발생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편두통을 악화 시키는 요인으로 소음, 냄새, 불빛, 스트레스, 초콜릿, 알코올 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혈관이 수축 이완되며 통증이 유발 되는 것으로 봅니다.

    약물 치료가 주된 치료이며 통증이 심할 때에는 진통제를 사용 하고 한달에 9일 이상 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정도라면 예방적으로 베타차단제나 항우울제, 항전간제 등을 사용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두통으로 문의주셨습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 갑작스러운 신체내부 또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뇌신경과 혈관계통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여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편두통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수면부족, 금식, 소음, 밝은 빛, 과다한 카페인 등이 있어 이러한 요인들을 피하도록 하셔야 합니다.
    편두통 환자들은 대부분 스스로 약물을 처방하여 복용하는데 이런 경우 오남용이 우려됩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신경과 전문의사로부터 정확한 진단과 정확한 처방을 받아 알맞은 치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단 진통제도 효과가 없다면 편두통 치료를 위해 신경과 방문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편두통은

    머리 혈관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작적이며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두통의 일종으로 주로 머리의 한쪽에서만 나타나는 통증입니다.

    원인

    아직 정확히 어떠한 기전으로 발생하는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뇌의 기능적인 변화, 신경전달물질 농도의 변화 및 삼차신경 이상 등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되어지고 있습니다.

    위험인자

    -가족력

    -여성

    -호르몬 변화 (초경 이후에 발생빈도 증가)

    -음식 (대표적인 술)

    -스트레스와 피로

    -감각 자극 및 수면 패턴의 변화

    -운동과 환경 변화

    통증의 양상이 크지 않다면 대부분 보족적인 치료를 시행하나 통증이 너무 심하다면 진통제 및 편두통 특이 진통제를 사용하여 개선하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주일 이상 지속적으로 두통이 계속 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런 경우 진단을 위한 검사라기 보다는

    중증 질환들을 배제하기 위해 검사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염증이 두통을 유발하긴 하지만,

    염증이 없어도 두통이 있는 경우도 많고,

    두통이 심한데도 염증 수치가 정상인 경우도 많아서,

    이 두가지를 꼭 연관지어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창규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두통원인

    약물복용, 수면부족, 정신적스트레스, 육체적피로, 전신질환

    등이 있습니다.


    두통의 치료

    약물치료 (타이레놀등의 진통제사용)

    생활습관 바꾸기 (수면패턴교정 / 숙면유도 / 스트레스인자 줄이기 / 목근육 스트레칭 / 어깨근육스트레칭 / 턱근육스트레칭 / 눈주위 찜질 등)

    병원 내원 (질병에 의한 두통일 가능성을 위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두통의 경우 원인이 혈관이 확장하면서 발생하는 통증이기 때문에 단순 진통제로는 효과가 부족할수 있고 혈관을 수축시켜주는 약이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하여 가까운 신경과 또는 통증의학과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근웅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편두통은 신경과에서 주로 다루는 질병이고 편두통에 효과가 좋은 약물들은 많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혼자서 너무 아파하지마시고 신경과가서 상담받고 정확한 진단 또는 검사 진행해보시는게 증상 조절에 훨씬 편하실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