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청렴한백로27
청렴한백로2723.01.03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여름에 우박을 맞은 기억이 있습니다

온도가 낮아 비 대신 눈이오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우박은 얼음 내리는건데 그 원리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3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주로 상승기류 타고 적란운의 구름에서 발생되고, 눈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구름 알갱이가 충돌하여 얼고 점차 낙하하며 크기도 커지고 지상으로 떨어집니다.

    즉, 대기불안정으로 인한 적란운에서 생성이되고 이 적란운의 온도차로 위쪽은 차갑고 , 여기에서 얼음결정이 생성되어 지상으로 떨어지며 알갱이가 커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위치한 고도의 온도는 매우 낮아 구름에는 빙정이라는 얼음입자들이 떠다닙니다. 이 얼음조각은 근처의 수증기 또는 과냉각 물방울을 흡수하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는데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이들은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지상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다시 구름으로 올라가 근처의 수증기 또는 과냉각 물방울을 흡수하여 커지고 떨어지고를 반복하게 되고, 상승기류에 의해서도 올라갈 수 없는 시점이 되면 낙하하게 되는데요, 이 때 크기는 상당히 커진 상태가 되어 우박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속 높은 곳에서 기온이 낮기 때문에 얼음이 생기고 구름속에 높낮이에 따라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은 얼음 알갱이는 구름 속 물방울과 결합하면서 더 큰 얼음으로 성장하고 반복되면서 크기가 충분히 커지면 무거워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게 우박입니다.

    만약 얼음 크기가 작다면 떨어지면서 녹으면 비가 됩니다.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에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