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엄격한뿔영양4
엄격한뿔영양424.04.16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총선 이후에 생필품등 줄줄이 가격인상예정인데 지금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물가잡는 정책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부채리스크와 부동산 리스크를 억제하기 위해서 기준금리인상을 억제하였고 이로 인해서 달러환율이 치솟게 되었는데 달러환율의 상승으로 인해서 수입원자재 및 제품과 가격이 상승하게 되자 이러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과 물가를 잡기 위한 정책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물가 상승 요인:

    1.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공급망 혼란 등으로 원유, 곡물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이는 생산비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2. 전쟁 및 지정학적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곡물 공급 차질도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3. 통화정책 기조 변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폈던 것이 물가 상승을 자극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4. 수요 회복: 경제활동이 재개되면서 억눌렸던 소비 수요가 살아나고, 이는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

    1. 기준금리 인상: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려 통화 공급을 줄이고 수요를 억제하는 방식입니다. 다만 경기 위축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2. 유류세 인하: 기름값 상승분의 상당 부분을 정부가 세금으로 흡수함으로써 소비자 가격 상승을 완화하는 정책입니다.

    3. 공급망 안정화: 원자재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비축물량 방출, 수입선 다변화 등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4. 서민 지원: 물가 상승에 취약한 계층에 대한 직접 지원, 공공요금 동결 등으로 체감 물가를 낮추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5. 구조적 대응: 근본적으로는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제고를 통해 비용 상승 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경제 체질을 만드는 게 중요합니다.

    물가 관리를 위해서는 거시경제 정책, 미시적 지원, 중장기 대책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정부의 적절한 대응과 위기 극복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주요 생산국의 식량 수출제한 등으로 국제 식량가격이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이라며 "한국의 경우 쌀을 제외한 식량의 수입의존도가 높아 가공식품 가격과 외식물가의 오름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하강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해 각국 중앙은행은 많은 양의 돈을 찍어냈다. 또 각국 정부도 많 돈을 시중에 풀었다. 이렇게 시중에 풀어진 돈은 수요를 늘려 물가 상승에 기여하게 된다.]

    이밖에도 한국에 소위 돈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과가격을 올려 팔아먹어도 돈없는 사람들이 안사야 가격을 내릴텐데

    돈있는 사람들이 매출에 기여하니 올린채 냅두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시기에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과 더불어서

    최근에 공급 이슈 및 이상기후 등 여러 원인으로 물가가 계쏙 오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물가가 계속 오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요즘 물가가 특히 더 오르는 것에는

    중동 정세로 인한 유가 상승과 더불어서 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기 때문입니다.

    현재로서 외부적인 요소로 물가가 오르기 때문에 당장은 정부로서도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