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봉래산제일봉
봉래산제일봉
22.12.03

기차운행 중 스위치백은 어떤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한건가요?

우리나라 삼척인가요 예전에 통리협곡에 스위치백이라고 기차운행할때 후진하는 모습이 있던데요. 이런건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적용되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22.12.03

    스위치백은 기차 자체가 후진을 가능하도록 설계했을 뿐입니다.

    기차의 동력을 반대로 한다면 뒤로 가게 됩니다.

    경사면을 오르기 위해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다시 잠시 뒤로 갈 필요가 있습니다.

    오르막에서는 바퀴가 헛도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스위치백으로 잠시 뒤로 갔다가 제동력을 다시 얻어서 오르막을 넘기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레일이 지그재그로 돼있구요 한쪽끝으로 열차가 올라가면 선로전환기를 작동해 다른쪽 레일로 옮겨가면서 왔다갔다 하면서 높은곳을 오르게 되는 원리입니다.


    앞으로 갈때만 오르막으로 오르고 뒤로갈때는 위험해서 평평한 레일위에서 움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