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냉정한고니157
냉정한고니15723.01.12

귀에 생기는 귀지는 어떻게 생기나요?

한달에 한번씩 귀를 파면 귀지가 쌓여있습니다. 코는 호흡을 하기때문에 먼지가 쌓이는 것 같은데 귀는 그런게 아닌데 귀지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귀에 먼지가 쌓이고 쌓이고 물기가 들어가 축축해 집니다.

    물이 들어가는것은 수증기 또는 목욕때 생기고

    먼지는 사람이 살면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소복히 쌓입니다.

    그러면서 그것이 만나 귀지가 생기게 됩니다.


  • 귀밥 = 귀지는 분비물의 덩어리입니다.

    땀샘에서 배출되는 분비물과 바깥에서 유입된 먼지 등이 혼합되어 형성 됩니다.

    이러한 귀지는 피부를 보호하고 염증을 막아주는 역할을 돕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2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귀에도 땀샘이나 분비물같은것이 배출되는데요

    귀에 분포된 땀샘이나 귓구멍의 분비물과 표피등 떨어져나온 것들이 뭉쳐 때처럼 생기는것이 귀지라고합니다

    귓속의 때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대사활동에 의해 귓구멍의 피부, 외부의 먼지,귀 입구에서 고막 사이의 이도선에서 분비된 분비액이 모여서 만들어집니다.

    이도선은 땀을 분비하는 땀샘의 일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