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호화로운동고비112
호화로운동고비11223.12.23

이상기후로 평균기온 올라가면 한파가 생기는 이유?

이상기후로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빙하가 녹고하는데 이러한 기온이상이 생기면 왜 한파가 생긴다고하는데 어떠한 이유로 그렇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시베리아 기단은 보통 러시아 영토측에 위치하지만 이상기온으로 그 기단이 위치를 이동하여 우리나라측으로 밀리면서 이상한파가 오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이상기온으로 인하여 극지방의 온도 또한 상승하여 다른 지역과의 온도 차를 좁히고 있습니다.

    또한 차가운 기류를 막아주던 제트 기류가 상대적으로 약해져 한파가 오는 것 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의 찬공기가 내려오지 못하도록 제트기류가 막아준다고 합니다만 지구온난화로 제트기류가 약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나 극한 한파 역시 발생하고 있는데, 음의 북극진동으로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북극의 찬 기류가 내려오면서 한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3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와 같은 이상 기후 현상이 일부 지역에서 한파를 유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이유는 주로 대기 순환 패턴의 변화와 극지방의 온도 상승과 관련이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예측하기 어렵고 복잡한 현상이며, 지역적인 기상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파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극지방의 온도 상승

    1. 극지방의 온도 상승: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과 같은 극지방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극지방과 중위도 지역 간의 온도 차이가 감소합니다.

    2. 제트기류의 변화: 온도 차이 감소는 대기 중 고도에 위치한 강력한 바람인 제트기류의 변화를 유발합니다. 제트기류는 보통 극지방과 중위도 지역 간의 온도 차이에 의해 유지됩니다.

    제트기류의 불안정성

    1. 메안더링 현상: 온도 차이 감소로 제트기류가 느려지고 불안정해집니다. 이로 인해 제트기류가 메안더링(굴곡진 패턴) 현상을 보이게 됩니다.

    2. 한기의 남하: 이 메안더링 현상은 때때로 극지방의 차가운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오게 만듭니다. 이러한 차가운 공기의 이동은 중위도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한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역적 기상 이변

    1. 기상 이변: 기후 변화는 전통적인 기상 패턴을 변화시키며, 이는 불규칙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극단적 기상 현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오락가락하는 기후: 한 지역에서 겨울 동안 눈이 적게 내리고 기온이 비교적 따뜻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해에는 갑작스런 한파와 눈폭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지구 온난화와 같은 이상 기후 현상은 단순히 온도 상승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기후 패턴의 변화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때때로 예상치 못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한파와 같은 이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후 시스템의 복잡성과 상호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와 북극 사이에는 제트기류라고 하는 강력한 바람이 부는 공기층이 있는데요


    그 제트기류가 북극의 찬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줍니다.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그 제트기류가 약해져서 북극의 찬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북극과 중위도 사이에 흐르는 제트기류가 흘러서, 한국에는 냉기가 비교적 덜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온난화현상으로 인하여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북쪽의 냉기가 남쪽으로 흘러내립니다.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차가운 공기가 남쪽으로 내려와 한파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위도 지역 제트기류는 북극과 중위도 간 기온 차에 의해 일어나며 그 기온 차가 클수록 빨라집니다. 북극 증폭으로 북극이 중위도보다 더 빠르게 가열되고 있기 때문에 그 기온 차가 줄어들어 제트기류가 약해집니다. 이에 따라 고기압과 저기압이 느리게 이동하여 중위도에서 극한 날씨가 지속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트기류는 북극 공기와 중위도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름철 도심 상가에서 볼 수 있는 ‘에어 커튼’과 같은 이치입니다. 에어 커튼은 문 위에서 아래로 강한 바람을 불게 해서 문을 열어놓고서도 상점 안쪽 공기가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습니다. 에어커튼 바람이 약해지면 상점 안 시원한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갈 것입니다. 이 같은 원리에 따라 북극 증폭으로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북극권에 고립돼 있던 공기가 한반도 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아무리 북극 지역이 따뜻해졌다 해도 겨울철의 북극 공기는 우리에게 한파로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