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5

반도체 강국 한국의 반도체 역사가 궁금합니다.

지금 한국은 반도체 강국인데 어떻게 해서 한국은 반도체 강국이 되었나요?

한국의 반도체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발전된건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1.15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반도체 기업인 한국반도체를 인수하여 사업을 시작합니다.

    반도체가 우리나라 산업사회에서 본격적으로 각광받기 시작한것은 1950년 이후이며 1965년 처음으로 반도게소자가 생산되었습니다.

    그후 정부가 외자도입법을 제정하면서 미국의 페어차일드사, 시그넥틱스사, 모토롤라 등 여러 외국 업체가 국내의 저렴한 인건비와 유능한 기능인력을 이용해 반도체를 단순 조립하기 위해 계속 들어온것이 우리릐 반도체 산업을 신장시켰습니다.

    한국자본이 반도체 산업에 투자한것은 1968년이며, 그해 3월 아남산업이 국내 최초로 반도체 조립산업을 시작했고, 1970년 금성사가 미국 내셔널세미컨덕터와 기술공급 계약으로 금성전자를 설립하비다.

    우리나라에서 반도체 산업의 선구자는 강대원박사, 강기동박사입니다.

    1973년 강기동 박사는 미국 내 ICII사를 설립, 경기도 부천 한국 최초의 반도체 소자 생산 공장인 한국반도체주식회사를 세루고, 4차중동전쟁으로 인한 오일쇼크를 이겨내고 C-MOS와 전자손목시계용 칩을 개발합니다.

    동양방송 이사인 이건희가 한국반도체 지분을 인수하면서 삼성전자의 반도체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현대는 1983년 초 현대전자를 설립, IC를 생산하고 금성반도체도 1984년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생산합니다.

    삼성전자는 시장 수요가 많은 메모리반도체중 대량생간이 가능하고 칩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D램을 주력으로 개발하려고 목표를 세우며 1983년 12월 1일에 개발 착수 후 6개월만에 309개 공정을 자력으로 개발, 웨이퍼를 생산라인에 투입하며 국내최초로 64KD 개발에 성공합니다.

    1992년 64M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 메모리 강국인 일본을 추월하고 1994년 256M D램, 1996년 1GB D램을 세계 최초 모델로 내놓으며 반도체시장을 주도합니다

    2000년 이후 삼성전자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세계 1위를 한번도 내주지 않고있으며 D램뿐만아니라 8Gb낸드가 애플 아이팟 나노에 탑재 된 후 NAND분야에서도 세계 정상 유지, 2014년 세계 최초 #D 낸드플래시인 V낸드 개발.

    현대전자는 외환위기 직후 1999년 LG반도체와 합병하여 일년 남짓 현대전자와 현대반도체 두개의 법인으로 존재하다가 2001년 3월 하이닉스반도체 이름으로 사업을 이어가다 2000년대 중반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IC사업을 분리하여 사업을 진행합니다.

    2011년 11월 하이닉스를 SK텔레콤이 인수, 2012년 SK하이닉스로 재탄생하였습니다.

    1960년대부터 반도체 조립산업을 했던 아남산업은 1990년 중반 팹사업을 하며 아남반도체라 사명을 바꾸고 2000년대 초 동부전자와 합병하여 동부아남반도체로 바뀌었으며, 반도체 조립사업은 암코라는 회사에 매각, 동부아남반도체는 동부하이텍, 현 DB하이텍으로 사명을 변경, 시스템 반도체 8인치 파운드리 사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