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2022100
202210023.02.15

미국 CPI 지수에따른 경기흐름 궁금합니다.

미국 CPI지수에 따라 세계경제가 움직이고 있는것 같습니다. 특히 금리 영향으로 미국 눈치만 보고 있는데 CPI지수가 높으면 진짜 인플레이션이라고 판단하면 되는건가요? CPI지수가 인플레이션을 판단하는 절대지수 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소비자물가지수(CPI)는 미국 고용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서 매월 발표하는 지수로써, 미국 전체 및 세부 지역 별로 소비재 및 서비스 시장에 대해 도시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의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 변화를 측정 한 것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할 경우 가계의 실질임금은 감소한다는 의미로써,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수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cpi가 높으면 물가가 오르고 물가가오르면 금리가오르고 주가는 떨어지게 되겠죠? cpi가 하락은 반대의 개념과 의미이므로 결국 주가의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cpi가 절대지수는 아니지만 왜 오르는 여러 경제 요인을 살펴보시면 중요한 지표이자 정보라고 파악 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코로나까지 정부에서 국민들에게 돈을 풀었다면 금리는 낮아지고 cpi도 낮아지지만

    현재는 미국이 앞장서서 달러를 걷어드리고 금리를 올리며 물가를 잡으려고 힘쓰고 있기에 cpi가 올라가는 현상은 당연하다고 봐야겠지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pi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인데 높을수록 소비가 높다라는 표시로 인플레이션 즉 물가가 높다고 여길수 잏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