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발생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원인과 그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일제강점기 정말이지 최악의 악행들을 저질렀던 일본의 만행들에 분노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1929년 발생한 광주학생항일운동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 운동이 발생한 원인과 그 역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주학생항일운동은 1919년 3·1 운동이후 발생한 국내 최대규모의 대중적인 항일 운동으로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면서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에서 비롯된 운동으로 2일만에 호남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서 전국 각지로 확산된 항일 운동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된 학생학생독립입니다.
이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갔으며 학생 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국민들이 일본의 폭력에 대항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 민족의 숭고한 정신이 깨어나게 된 것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1운동 이후 각종 민족운동과 항일 투쟁은 청년, 학생들에게 민족자주의식을 불러일으켰고 1926년 6.10만세운동은 청년, 학생들에게 자신들 스스로가 민족독립 투쟁의 전위적인 존재임을 자각하게 했습니다. 이후 각급 학교에는 크고 작은 항일 결사들이 조직되었고 식민지 차별 교육에 항거하는 동맹 휴학형식으로 치열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던 중 1929년 11월 일본 학생의 한국인 여학생 희롱 사건으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게 되고 일본 경찰의 편파적인 대처 등을 계기로 민족 감정이 폭발하여 광주에서 시작된 항일시위는 점차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학생 운동이 소극적인 동맹휴학의 상태에서 벗어나 가두시위 형태로 바런했고 신간회의 진상 조사단 파견 등 민족적 투쟁으로 발전했으며 학생과 시민이 합세한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민족운동이라고 평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