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심각한황로175
심각한황로17524.03.31

바닷물은 왜 짠 소금맛을 유지할수가 있을까요?

바닷물은 어떻게 짠맛이 나는걸까요?

그리고 비나 민물이 섞이는데도 짠맛을 유지 하는 이유가 뭘까요?

그리고 바닷물을 그냥 먹을수 없는 이유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짠맛은 주로 염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해수에서 증발하여 남은 염분이 많은 물이기 때문에 짠맛이 나게 됩니다. 그리고 비나 민물이 섞이는 경우에도 염분이 많은 바닷물이 민물과 섞이면서 짠맛을 유지하게 됩니다.

    바닷물이 짠 소금맛을 유지하는 이유는 바닷물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 미생물들은 바닷물의 염분을 이용하여 생존하고 성장하는데 이 과정에서 염분을 분해하면서 소금맛이 유지되게 됩니다.

    하지만 바닷물을 그냥 먹을 수 없는 이유는 미생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해양 생태계에서 다양한 동식물들이 살아가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들의 배설물이나 해양 오염물질이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닷물을 그냥 먹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닷물의 짠 소금맛을 유지하는 이유는 바닷물이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영양분을 제공하고 온도를 조절하며 해양 생물들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닷물의 짠 소금맛을 유지하는 것은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바닷물을 마시지 않는 이유는 건강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짠 소금맛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소금이 포함된 농도가 고르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수분과 함께 다양한 무기질과 이온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이 염분입니다.

    바닷물은 지구상의 모든 해와 바다에서 대략적으로 3.5%의 염분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염분 농도는 해수의 증발과 강 등으로부터 수집되는 물의 성분이 일정하기 때문에 유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 짠맛은 주로 염화나트륨(NaCl), 즉 소금에서 비롯됩니다.

    강물과 지하수에는 암석과 토양을 지나면서 녹아낸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염화나트륨은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며,

    바닷물의 짠맛을 주는 주된 원인입니다.

    염화나트륨 외에도 염화마그네슘, 황산칼륨,

    염화칼슘 등 다양한 무기염들이 바닷물의 맛에 영향을 미칩니다.

    강물은 빗물과 지하수가 모여 바다로 흘러들어가며,

    이 과정에서 암석과 토양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을

    녹여 바닷물의 염도를 높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의 양은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비나

    민물이 섞여도 염도가 크게 변하지는 않습니다.

    바닷물은 인간이 필요로 하는 수분보다 훨씬 더 많은 염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신체는 혈액 내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정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바닷물을 마시면 혈액 내 염도가 높아져 신체의

    수분을 빼앗아 탈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각한 경우 신부전, 심장 질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담수화: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하여 식용 가능한 물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다양한 담수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만, 에너지

    소비가 많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염분 제거:

    바닷물에서 염분을 일부 제거하여 염도를 낮추는 방법입니다.

    끓여서 물을 증발시키거나, 막 여과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바닷물은 염화나트륨 등 다양한 무기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짠맛이 납니다.

    비나 민물이 끊임없이 흘러들어가지만

    바닷물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염도는 크게 변하지 않습니다.

    바닷물을 마시면 탈수 증상을 유발하고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직접 마시는 것은 위험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육지의 염분이 바다로 흘러가기 때문에 짠 맛을 유지합니다. 바닷물은 햇빛에 의해 증발되기도 하고 강물이 유입되기도 하며, 육지에서 염분이 유입되는 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 염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바닷물은 염화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황상 마그네슘 등 다양한 염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염화나트륨은 가장 짠 맛을 내는 성분으로, 바닷물 1kg당 약 27.21g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러한 염류들이 바닷물의 짠 맛을 만들어줍니다.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염분을 걸러내거나 오줌을 통해 염분을 배출하여 체내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그래서 물고기는 바닷물만큼 짠 맛을 느끼지 않습니다. 바닷물이 짠 이유는 염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며, 이는 자연적인 과정으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육지의 암석에서 용출된 염류가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들어 쌓여 짠맛이 납니다. 비나 민물이 섞여도 염류의 양이 훨씬 많기 때문에 짠맛을 유지하며, 끊임없는 증발과 강수의 순환은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바닷물은 소금 함량이 높아 혈액보다 염도가 높아 탈수 증상을 유발하고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직접 마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