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태평한침팬지213
태평한침팬지21321.03.27

임산부 감기약 먹어도 되나요?

임산후 얼마 있다가 감기약 먹을수 있나요?

약을 전혀 먹으면 안되는건지 병원에 방문해서

처방을 받으면 약을 먹을수 있는 건지요?

혹시 절대 먹으면 안되는 약은 어떤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댓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슈도에페드린, NSAIDs 계열의 소염진통제는 절대 드시면 안됩니다.

    - 태아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2.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임산부는 모든 의약품/의약외품/영양제는 필히 의사와 상담 후 복약하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문의 부탁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약사 김수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반적으로 임신초기에는 약을 절대 복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4개월차이후에 복용을 해도 되는 임부등급b등급 이상의 약을 복용해도 되긴 하지만,

    왠만한 상황이 아니면 복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일반적으로 복용할 수 있는 약으로는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과,

    소화에 도움이 되는 개비스콘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임신 하셨을 경우 감기약은 일반적으로 드시지 않습니다.

    심하지 않으시면 안드시는게 좋지만, 진통제로서 타이레놀 은 드셔도 됩니다.

    증상이 심하신 경우에는 병원의 진료 후 의사선생님과 상담한 후

    드실 수 있는 처방약이 나올 수는 있습니다.

    무엇이든 약을 드시는 경우가 생기면, 의사나 약사에게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려주셔야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완전히 안전하다고 확립된 약은 감기약중에 없긴 합니다. 해열제는 타이레놀정도가 가장 안전하다고 되어있구요, 약은 전혀 먹으면 안되는건 아니나 가급적 안먹으면 좋습니다. 병원에 가면 처방은 해주시지만 비슷한 얘기 하실듯 합니다. 약마다 임부금기 등급이 정해져있는데 그 등급이 높을수록 기형유발이나 태아독성이 있습니다. 감기약은 대부분 그정도로 높은편은 아니지만 완전히 안전하지도 않으니 감안해서 드셔야 하구요,

    대부분 큰 문제는 안생깁니다. 산모가 건강해야 아이도 건강하니 심한 감기에 걸렸을때는 약을 드시고 가벼운거라면 잘먹고 잘쉬는 방법으로 해결하시면 가장 좋고 해열제 정도는 안전하게 드실 수 있으니 드셔도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임산후 얼마 있다가 감기약 먹을수 있나요?약을 전혀 먹으면 안되는건지 병원에 방문해서처방을 받으면 약을 먹을수 있는 건지요?

    ☆ 필요시 병원서 처방받아 복용하세요

    혹시 절대 먹으면 안되는 약은 어떤게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댓글 부탁드립니다.

    ☆ 일반적인 약 중 호르몬제 피임약 구충제 변비약 등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