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비상한꿀벌
비상한꿀벌23.01.01

올해 금리 전망 어떻게 될까요?

지금까지 계속 금리가 올랐었는데 앞으로는 떨어질 거라는 얘기를 들은 것도 같아서 앞으로의 금리 전망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졌어요. 오를까요 떨어질까요? 그리고 금리가 높은 게 좋은 건가요 낮은 게 좋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에 금리인상이 지속되다 보니 이자금액 부담이 증가하여 많은 국민들이 힘들어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올 한해의 금리 전망은 더 좋지 않는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이유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심화되면 달러환율 상승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환율상승과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해서 미국을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격차를 심화시키지 않도록 노력하는데, 내년 미국의 금리는 상반기동안 추가적인 인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은 내년 상반기동안 2차례의 금리 인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2월 3일 0.5%금리인상과 3월 23일 0.25%~0.5%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끝으로 정점금리 수준은 5.25%~5.5%로 예상이 됩니다.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또한 내년 상반기까지 인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정점금리 수준은 3.75%~4.25%로 예상되며 이 정점금리는 2023년 연말까지 유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것은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현금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 입장에서는 좋을 수 있으며, 인프레이션이 억제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최근처럼 모든 개인들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는 개인들의 이자비용 부담 증가가 너무 크다보니 향후 개인들의 연체와 부실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서 좋은 상황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1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한국 기준금리는 4%대로 유지될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므로 해외로 자본이탈을 막기위해서는 한국의 기준금리의 상승은 어쩔수 없이 지속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