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기특한말똥구리124
기특한말똥구리12423.02.19

금리 향방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최근 예 적금 금리는 많이 내리고 있는데..

시중 금리는 애매한 상황으로 보입니다.

미국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금리의 방향은 어떻게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년 12월부터 2월 초까지만 하더라도 시중은행의 1년기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 하락의 원인은 미 연준의 금리인상 완화와 정부의 금리인하 압박으로 인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미국의 실업률이 51년 이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지난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발표되었던 CPI와 PPI지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기 시작하면서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다시금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다 보니 2주전부터 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하였고 대출금리는 1년물 기준으로 0.25%가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금리를 누를만큼 가계부채와 PF대출로 인한 대출 부실화 우려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보니 미국의 빠른 금리인상 기조가 다시금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고심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사정을 뻔히 알다보니 달러환율은 상승하기 시작하고 있고 마다 2월의 금통위에서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고 3월의 CPI와 FOMC회의를 지켜본 후에 4월 금통위에서 금리인상을 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미국의 인플레가 다시금 상승 기조로 전환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다 보니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또한 다시금 상승 기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리는 미국과 어느정도 동조화 되어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어느정도 금리를 따라서 인상하지 않으면
    외국계 투자 자본의 유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미국의 금리 정책에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