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놀라운낙지113
놀라운낙지113

축의금의 기준은 어떻게 정해져 있나요?

기본적으로 그냥 지인들 같은 경우엔 5만원 친한친구는 10만원이라 생각하고 살았는데 커뮤니티를 보니깐 친한친구 30이 기본이라 그러더라구요 이게 맞나요..?

30은 너무 과하지 않나요.. 저희 엄마도 친한친구 자식들 결혼식엔 10하시던데 사촌들 결혼식엔 100이상 하시는데 굳이 가족도 아닌데 30을 할 필요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안녕하세요. 조용한문어80입니다.

    사람마다 기준이 다르니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기본예의금은 5만원이 맞구요.

    그 외엔 본인의 기준에 따라 내는게 다 맞는 말입니다.

    시간을 내어 결혼식에 참석해주는게 더 의미 있는 일이니 금액에 너무 신경안쓰셔도 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럭셔리한족제비16입니다.

    친한 친구라고 많이 적게 해야하는건 없다고봅니다

    개인적인 사정에따라 할수 있는 문제가 아닐까요?

    친한 친구사이라면 얼마를 하든간에 축하를 해준다는게 고마운일이 아닐까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듬직하고깔끔한사랑스런벌203입니다.

    우리나라는 축의금 문화가 상부상조하는 의미로 하는 것이라 기본적으로 기브앤테이크 개념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님께서 말씀하시는 금액에 동감하며,

    저도 지인은 5만원, 친한 친구는 10만원을 합니다. 그러면 주는 사람, 받는 사람 모두 부담이 없어 좋습니다.

    본인이 많이 하면 받는 분도 많이 해야 되니 과하게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따뜻한병아리1입니다.

    찐친 -20만원 이상

    찐친이하 그냥 친구 이상-10만원-15만원

    그냥친구-10만원

    아는 지인-5만원

  • 안녕하세요. 털찐고라니입니다.


    축의금의 경우 기준이 정해져있지 않은, 암묵적인 기준이라고 하죠. 보통 자신의 사정에 맞게 주는게 제일 좋고, 정말 친하다면 축의금으로 축하의 크기를 결정하는게 아닌 결혼식에 참석해서 축하를 해주는거에 더 큰 의의를 둬야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늠름한댕댕입니다.

    축의금 같은 경우에는 딱 정해져있는게 아니다보니, 애매하긴하죠.

    경제 사정에 따라 정하시면 될거같은데, 굳이 남들이 그렇게 한다고해서 따라하려고 하진 마세요~

    친한친구들 같은 경우에는 10만원부터 시작하시면 될거같네요.

    엄청 친하다하면 더 주고싶기도 하지 않나요?

    10만원이 기본인데 거기에 더 줄건지 말건지만 고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pinetworkman입니다.

    우선 그 진구분이 질문자님의 경조사에 얼마를 하셨는지 보시고 만약 받을 일이 없고 친한 친구라면 지금 경기가 좋지 않으니 20만원도 충분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럭셔리한발발이234입니다.


    30만원은 과하죠.

    지인 5만원. 친하면 10만원이였지만

    요즘 인플레이션이 심하니까

    지인10만원. 친하면 20만원이 적당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리아빠입니다.


    공무원이 아닌경우 축의금 기준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친분도에 따라 더하고 덜하고의 차이 같지만 요즘은 5만원이 기본인듯한데 왠지 10만원이 기본으로 되어가는듯하네요..